earticle

논문검색

柳夢寅의 <擬古詩十九首軆>에 나타난 擬古 양상과 특징 — 陸機의 <擬古詩十二首>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Yoo Mong-in’s <Uigosisipgusuche>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Uigosisipisu> of Lu Ji

유몽인의 <의고시십구수체>에 나타난 의고 양상과 특징 — 육기의 <의고시십이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archaism in Yoo Mong-in(柳夢寅)’s by comparing with of Lu Ji(陸機). Yoo Mong-in operated the ’s structures strictly and concisely, which was his rule of the creation of archaic poems. Based on this, the main details of imitating of by the above two writers are as follows. In case of using the rhyming words(韻字), Lu Ji adhered to the rhyme scheme at the ends of even lines(隔句押韻) in every poems; Yoo Mong-in accepted all the features of rhyming words used in and applied them strictly, while simplified the complex principles. In the number of lines(句數), Lu Ji kept the format of but added or subtracted two lines in the six works; Yoo Mong-in adjusted two lines in just four works, which is more rigorous than the aspects shown in Lu Ji’s works. Both Lu Ji and Yoo Mong-in recognized the use of repeated words(疊字) as important and actively practiced them. However, the two showed different aspects when it comes to a fixed form of ‘Yeonyongyukcheopja(連用六疊字: using the repeated words from line 1 to line 6)’ which was a unique feature of the second work of . While Lu Ji broke from the fixed pattern of the original, Yoo Mong-in strictly followed it. Finally, in terms of embodiment of the poetic contents(詩意), the two maintained the themes of the original works and similarly reproduced the poetic contents; in some cases, they maintained the themes of the original but reinterpreted the unclear contents of the original or created them autonomously. And then, Yoo Mong-in embodied the reality problems and conflicts he was facing through allegory(寓意) and satire(諷刺). This is a major feature that distinguishes his from Lu Ji’s .

한국어

본고는 유몽인의 <擬古詩十九首軆>에 나타난 擬古의 양상과 특징을 육기의 <擬古詩十二首>와 비교 분석하여 고찰한 것이다. 유몽인은 <古詩十九首>의 格律을 준엄하면서도 간결하게 운용하는 것을 의고시 창작의 준칙으로 삼았고, <고시십구수>의 格調를 구현하기 위해 音響과 措語를 중시하였다. 이에 입각하여 양자가 <고시십구수>를 모의한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고, 아울러 유몽인이 의고시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육기의 의고시를 선행적으로 학습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韻字의 운용 측면에서 육기가 고수한 방식은 일운도저와 통운 위주의 단순한 압운법을 운용하면서 모든 수를 격구로 압운하는 것이다. 반면에 유몽인은 <고시십구수>에 구사된 압운법과 운자 운용의 특성을 모두 수용하여 준엄하게 운용하는 한편, 환운 첫 구 入韻과 같은 古詩의 복잡한 원칙에 대해서는 선별적으로 간결하게 운용하였다. 句數의 운용 측면에서 육기는 <고시십구수>의 句數를 유지하되 6수에서 2구를 加減하였다. 이에 비해 유몽인은 4수에 한해서만 2구를 가감하여, 육기가 원작의 句數를 가감한 양상보다 더 엄격하고 간결한 면모를 보인다. 육기와 유몽인은 첩자의 운용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그러나 <고시십구수> 제2수가 지닌 ‘連用六疊字’의 정형성에 대해서는 양자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 바, 육기는 원작의 정형성에서 벗어난 반면에 유몽인은 원작의 정형성을 엄수하였다. 詩意의 구현 측면에서 육기와 유몽인의 의고시는 원작의 주제를 유지하면서 詩意를 유사하게 재현한 경우가 있고, 원작의 주제는 유지하되 원작의 불명확한 詩意를 재해석하거나 독자적인 詩意를 구현한 경우도 있다. 특히 유몽인은 자신이 직면하였던 현실 문제와 갈등을 寓意와 諷刺를 통해 형상화한 바, 이것은 육기의 의고시와 변별되는 주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유몽인의 의고시 창작 준칙
Ⅲ. 유몽인 <擬古詩十九首軆>와 육기 <擬古詩十二首>의 擬古양상 비교
1. 韻字의 운용과 句數의 가감 양상
2. 疊字의 운용과 詩意의 구현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훈 Lee Hoon. 강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