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시장에서의 경험학습이 장소애착과 장소충성도에 미치는 효과 - 서비스러닝 경험학습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Experience Learning on Place Attachment and Place Loyalty in Traditional Markets : Service Learning Experience

이지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on place attachment and place loyalty for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learning on the stage of the local traditional market among students who have recently participated in service learning, which is being used in university's major curriculum. To this end, empirical learning was divided into emo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s and the impact of these experiences on place loyalty through emotional and cognitive place attachment was demonstrated. Through service experience learning,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in traditional markets to secure data,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mart PLS. Analysis shows that emotional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place attachment, and cognitive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place attachment. It was also analyzed that this emotional place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place attachment and that emotional place attachment and cognitive place attachment respectively had a positive effect on place loyalty.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대학의 전공교과에서 활용 되고 있는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학생 중에 지역 전통시장에서 서비스러닝의 감정경험과 인지적경험이 장소애착과 장소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험학습을 감정적 경험과 인지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고 이러한 경험이 정서적 장소애착과 인지적 장소애착을 거쳐 장소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서비스러닝으로 전통시장에서 경험학습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 인 설문지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확보하고, Smart PLS 사용하여 실증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적 경험은 정서적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경험은 인 지적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정서적 장소애착은 인지 적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정서적 장소애착과 인지적 장소애착 각각 장소 충성 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전통시장에서의 경험학습과 참여 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전통시장을 단순한 소비장소가 아닌 학습 경험장으로 활용 시 긍정적 인 장소애착과 장소 충성도 형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경험학습 장소로써의 제공은 지역의 경제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것이다. 새로운 전통시장 활용에 대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되는 제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논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2.1 전통시장 선행연구
2.2 경험학습 개념 및 차원
2.3 서비스러닝의 경험적 학습
2.4 장소애착의 개념과 차원
2.4 장소충성도
Ⅲ. 실증분석
3.1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3.2 측정항목
Ⅳ. 연구결과
4.1 측정모형 분석 결과
Ⅴ.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은 Lee, Ji-Eun. 동명대학교 기획처 대학혁신지원사업단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