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황연우, 유평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licy implementation plan by exploring the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for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93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31 career teachers in Jeonju, Jeonbuk-do Province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less than 4.0, and for career teachers, 3.96 to 3.75, and for general teachers, 3.65 to 3.14. Awareness level was lowere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of policy content, acceptance attitude, will and conditions for implementation, and expected effect. Also,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mplementation environment and expected effects was higher among the head teachers, career counseling majors, and teachers with double majors. As a way to raise awareness and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consulting supervision were provided in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upport, and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teachers in charge of careers and expand human resources.

한국어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환경과 기대효과를 탐색하여 정책 추진 방안을 제 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전주시 일반계 고등학교 일반교사 93명과 진로 교사 31명에게 고교학점제 환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4.0 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 실행 환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수준은 4.0 이하였고 진로교사가 3.96 ~ 3.75, 일반교사가 3.65 ~ 3.14였다. 인식 수준은 정책 의 내용이해, 수용 태도, 시행 의지 및 여건, 기대효과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부장교사, 진 로진학상담 전공, 부전공이 있는 교사가 고교학점제 실행 환경과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고교학점제 인식 제고와 실행을 위해 방안으로 학교와 교육지원청의 협력으로 컨설팅 장학을 실시하고, 진로전담교사의 역량 강화와 인력 확충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Ⅱ. 문헌 고찰
1. 고교학점제
2. 고교학점제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설문내용
3. 고교학점제 관련 교사 변인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고교학점제 환경과 기대효과 수준
2. 교사의 직급, 전공, 부전공 유무에 따른 고교학점제 환경과 기대효과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연우 Hwang, Yeon U. 전주대학교
  • 유평수 Yu, Pyeong Su. 전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