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Kuroita Katsumi’s view of imperial history. It takes as its point of departure the works of Kume Kunitake, representative of the first generation of academic historians, and contrasts them to Kuroita’s work,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second generation of academic historians documenting people who migrated to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Kuroita reformed Kume’s progressive and rational system of documenting the ancient history of Japan with his view of imperial history in order to restore academic historiography, which had fallen into crisis, and to gain the support of conservative forc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Kume organized the table of contents of his books on Japanese ancient history by topic, while Kuroita organized the table of contents in chronological order along the ruling periods of Japan’s emperors. Second, Kume accepted anthropological theories that supported the existence of ancient migr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Japan, but Kuroita rejected these theories in favor of a pure Japanese historical view influenced by Shinto. Third, Kume interpreted the myth of Susanoo to mean that there was an active exchange between Japan and Korea during the Age of the Gods, but Kuroita,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myth of Izumo, limited the Age of the Gods to the exchange between Silla and Izumo. Finally, both scholars pretended to ignore the article on the large-scale migration of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that appeared in the Nihon Shoki.
한국어
이 논문은 아카데미즘 사학 제1세대인 구메 구니타케와 제2세대인 구로이타 가 쓰미의 한반도 도래인에 대한 인식을 통해 구로이타의 황국사관을 고찰한 것이다. 구로이타는 위기에 빠진 아카데미즘 사학의 복권을 기도하는 데 보수 세력의 지지 를 얻기 위해 진보적이고 합리적인 구메의 고대일본사 체계를 황국사관으로 재정 립하는 것을 시도했다. 양자의 차이는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구메 는 고대일본사 관련 저서의 목차를 주제 중심으로 구성했으나 구로이타는 천황의 통치 형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구메는 일본에 이주한 한반도 도래인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인류학설을 수용했으나 구로이타는 이를 배제하여 순수한 일 본인에 의한 신대사를 고집하였다. 셋째, 구메는 스사노오 신화의 통해 신대에 한 일 간에 활발한 교류가 존재했다고 해석했으나 구로이타는 이즈모 신화를 통해서 신대의 교류는 신라와 이즈모의 교류로 한정하였다. 넷째, 『일본서기』에 나온 한반 도 도래인의 대규모 이주 기사에 대해서는 두 학자 모두 이를 외면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저서의 목차에 나타난 황국사상
Ⅲ. 한반도 도래인에 관한 인류학설에 대한 인식
Ⅳ. 한반도 도래인의 이주를 시사하는 신화에 대한 인식
Ⅴ. 『일본서기』의 대규모 이주 기사에 대한 인식
Ⅵ.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