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 song, titled “The Song of Loneliness and Homesickness(怨曠思惟 歌)”, was sung along with the backstory, to the tune of a lyra. Written in a traditional poetic style, it was about unrequited loneliness and longing for home. The story of Wang So-gun(王昭君) is about satirizing the royal concubine palace(掖庭) system and how she killed herself by rejecting other ethnic cultures. It was aimed at the monopoly of women and conflicts with the Qiang (姜), an ethnic minority, which caused serious problems in the Eastern Han society. The spread of two different characters about Wang So-gun meant that the Eastern Han community’s views had changed. Gradually, Wang So-gun—a representative of widowhood—transformed into a symbol of ethnic conflict as the Han people’s fear and hatred of the strong fighting power and heterogeneous culture spread during the late Eastern Han period. “The Song of Loneliness and Homesickness” is not only representative of that period—which inherited the traditional style of poetry—but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first literary work to showcase the original format of Wang So-gun literature.
한국어
이 논문은 兩漢을 대표하는 시가 형식인 琴曲중 왕소군을 주인공으로 한 <怨曠 思惟歌>를 최초의 왕소군 문학으로 소개하고, 금곡의 배경 고사와 가사에 대한 분 석을 통해 금곡의 주제를 파악하고 나아가 왕소군을 역사에서 문학의 영역으로 소 환해야만 했던 사회적 배경과 시대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원광사유가>는 짝없는 외로움과 고향과 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가사와 더불어 왕소군이 이 런 제목의 노래를 지어 부른 전후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는 배경 고사와 함께 전해 진다. 왕소군이 후궁에서 연지가 된 사연을 상세히 서술한 내용과 연지 왕소군이 이민족 문화를 거부하며 자살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배경 고사는 동한 사회의 고질 적 문제인 권력 계층의 여성 독점과 이민족과의 갈등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연지 왕소군에 관한 내용은 ‘원광사유’라는 제목과 다소 동떨어진 것으로 금곡이 전승되고 전파되는 과정에서 추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한 말 강력한 전투 력과 이질적 문화를 지닌 이민족에 대한 한인들의 공포와 불안이 극에 달하면서, 원광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원광사유가>가 점차 이민족에 대한 혐오 감과 한인들의 문화적 우월감을 공유하고 확산하는 금곡으로 변주된 것이다. 이로 써 원광 사회를 대표하는 인물로 소환된 왕소군은 점차 민족 갈등의 상징적 인물 로 변모하였고, 금곡 <원광사유가>는 권력 계층의 여성 독점과 이민족과의 갈등 이라는 동한 후기 사회의 고질적 문제를 포괄하는 작품으로 기록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배경 고사와 가사로 분석한 금곡 <원광사유가>의 주제
IⅡ. 왕소군 고사 탄생과 유행의 시대적 배경과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