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시대 薦望制度 연구 - 삼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eonmang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 focused on the Samman system -

조선시대 천망제도 연구 - 삼망을 중심으로 -

정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the origin of the Cheonmangsystem (천망제도) is not certain, it was carried out from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조선왕 조). The reasoning behind the sammang system (삼망제, three-man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Chosun Dynasty was that the right of personnel was the king’s authority, so servants required the king’s approval. Furthermore, it was important in appointing an official. According to the Sammang procedure, Yijo's dignitaries were supposed to stand on the east side, and Byeongjo's dignitaries were supposed to be on the west side when the king personally greets the palace. At this place, the king was chosen when the three nets were raised from Yijo and Byeongjo.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appointment of officials was supposed to be decided by the king through the Sammang. Due to this, Sammang was said to be a practice in personnel procedures. However, Sammang was not an essential procedure to be followed for all government posts. There were also many problems with the Sammang system. Firstly, due to the request of a candidate for government office. and then the Sammang was done formally, such as filling only the numb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Sammang system, the Chosun Dynasty implemented the Danmang system (단망제), Yimang system (이망제), and Jangmang system (장망제). Although Danmang had been around since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government posts appointed as Danmang were enacted or customary, especially in the late Chosun Period. In other words, Jeongja of Hongmungwan (홍문관 정자), Canseon of Sejasigangwonwon (세자시강원 찬선), and Sayeop of Seonggyungwan (성균관 사업) were recommended by Danmang. In addition, Nangwan of Jongchinbu (종친부 낭관) and Dosa of Chunghunbu (충훈부 도사) were to be recommended by Danmang The Yimang, which recommended two men to be raised to the king, was generally carried out when it was not possible to have thre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pavilion was designated as the place for Hongmungwan. The Jangmang was the practice of recommending at least four people, and in the late Chosun period, Seungjeongwon officials and Seungji (승증원 승지) were enacted or customary.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reality and problems of personnel administrat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leading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era’s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한국어

천망제도의 기원은 확실치 않지만,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이를 실시하였다. 조 선왕조에서 인사 절차상 삼망을 갖추도록 한 이유 내지 명분은 우선, 인사권은 임 금의 권한이므로 신하가 임금의 결재를 받아서 인사를 행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그 다음으로는, 銓曹인 이조나 병조의 專權을 방지하려는 데 있었다. 또 하나는 관 직의 선임을 중요시하였기 때문이었다. 삼망의 과정을 보면, 정기인사인 都目政에서 임금이 궁전에서 친히 인사를 처리 할 경우 이조의 판서ㆍ참판ㆍ참의는 동쪽에 서있고, 병조의 판서ㆍ참판ㆍ참의ㆍ참지는 서쪽에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 자리에서 이조와 병조에서 삼망을 갖추어 啓 稟하면 임금이 낙점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조정에서 벼슬살이 하는 관리, 즉 朝官의 임명은 원칙적으로 모두 이조ㆍ병조의 삼망을 거쳐 임금의 낙점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삼망은 인사절차상의 常例나 準例라 일컬어졌지만, 모든 관직 임명 시에 반드시 거 쳐야만 하는 필수적인 절차는 아니었다. 모든 관직을 일률적으로 삼망으로 뽑아야 만 한다는 규정은 없었으며, 그만큼 예외도 많았다. 삼망제는 한계점도 지니고 있었는데, 관원 후보자의 청탁이나 銓曹의 私情에 따 라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삼망이라는 절차가 숫자만 채우는 등 형 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비판도 있었다. 이와 같은 삼망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조선왕조에서는 單望, 二望, 長望 을 행하였다. 단망은 조선 전기부터 있었지만, 특히 조선 후기에는 그것으로 임명 하는 관직이 법제화 혹은 관례화되어 있었다. 즉, 『조선왕조실록』과 『속대전』 등의 법전에 의하면, 홍문관 南行職인 正字, 山林職인 세자시강원의 贊善ㆍ進善, 성균관 의 祭酒ㆍ司業은 단망으로 임명할 수 있었다. 또한 宗親府의 兼郎廳, 忠勳府의 兼都 事 등은 단망으로만 천거하게 되어 있었다. 이것은 재야의 명망 높은 유학자나 종 친과 공신을 등용하기 위한 통로로 단망이 주로 행해졌음을 보여 준다 전조에서 두 명을 천거하여 임금에게 올리는 이망은 대체로 삼망을 갖출 수 없을 때 행하여졌다. 조선 전기에는 홍문관 正字의 임명 시 이망으로 의망하도록 하 였다. 조선 후기에는 세자시강원의 찬선과 진선, 삼사의 관원, 홍문관 수찬 등의 임 명에 이망이 행하여졌다. 장망은 4명 이상의 후보자를 의망하던 관행인데, 조선 후기에는 승정원 승지, 이조 참판ㆍ참의, 규장각 제학ㆍ직제학은 장망을 하도록 법제화되거나 관례화되어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三望制의 실태
Ⅲ. 單望制의 실태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구선 Chung, Koo-sun. 성결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