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Hwanghae-do Gut Soeyeori Taryeong (a kind of Hwanghae-do Gut song). In Hwanghae-do Gut, Soeyeori Taryeong is present only in Sangeori, Chogamheunggeori, and Chilseonggeori, after which a performance to open the Soe (a sacred tool) is conducted.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is performance. Soeyeori Taryeo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ct of Soeyeolgi. Soeyeori Taryeong - opening of the Sabangsoe - opening of the Haneulsoe or Ttangsoe are done sequentially. Soeyeori Taryeong is performed as an enunciation followed by the act of opening he Sabangsoe, Ttangsoe, and Haneulsoe which concretizesit. In Soeyeori Taryeong, an enunciation opens the Soe to invite the spirit while in Soeyeori, the act is to invite the spirit. Subsequently, based on the principle of Sogut and Yukgut and the principle of performing Hwanghaedo Gut, the author suggests that Sangeori, Chogamheunggeori, and Chilseonggeori should be the main Geori of Hwanghae-do Gut. Sangeori and Chilseonggeori reveal the recognition of the grounds of life while Chogamheunggeori shows the meaning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ll spirits coming into the Gut. Therefore, Soeyeori Taryeong seemstoreflectthe importance of those Gutgeori.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 the Musindo of Hwanghae-do Gut, “Seongsu Musindo” indicates that mediums have a part in opening the Soe. However,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meaning best owed on the Soe is also revealed through Soeyeori Taryeong. Nowadays, recognition of Soeyeori Taryeong changes according to Gyeolrye (a term related to Hwanghae-do Gut that refers to genealogy). Soeyeori Taryeong is either reduced or recognition on Soeyeori Taryeong is diminished. Understanding Soeyeori Taryeong is rather complex as whether to perform Soeyeori Taryeong in Sangeori is the basis of the criteria to identify Gyeolrye.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Soeyeori Taryeong is also associated with that of the Gut environment that has recently appeared. The decline of taboos, the shortening of time to perform the Gut, or the simplific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Gut comprise the majority of the recent changes to Hwanghae-do Gut. Due to these changes, we may have to examine Hwanghae-do Gut more closely.
한국어
이 글은 황해도굿 쇠열이타령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황해도굿에는 <산거리>, <초감흥거리>, <칠성거리>에만 쇠열이타령이 있다. 쇠열이타령을 연행하고 이어 서 쇠를 여는 연행을 한다. 이러한 연행 의미를 살핀 것이 이 글이다. 쇠열이타령 은 쇠열기 행위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쇠열이타령 - 사방쇠 열기 - 하늘쇠 또는 땅 쇠 열기가 연속성을 가진다. 쇠열이타령으로 언술을 한 후 사방쇠와 땅쇠, 하늘쇠 를 여는 행위로 이를 구체화한다. 쇠열이타령에서 언술로 쇠을 열어 신령을 모신 다면 쇠열이에서는 행위로 신령을 모시는 것이다. 다음으로 황해도굿의 연행원리 인 소굿과 육굿의 원리를 바탕으로 <산거리>, <초감흥거리>, <칠성거리>가 황해 도굿의 핵심거리임을 제시했다. <산거리>와 <칠성거리>를 통해 삶의 기반에 대 한 인식을, <초감흥거리>를 통해 굿에 들어오는 모든 신령을 받아들이는 의미를 드러내면서 이들 굿거리의 중요성을 쇠열이타령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황해도굿의 무신도에 만신을 그린 ‘성수 무신도’에 쇠를 여는 장면이 그려져 있음에 주목하여 쇠가 가진 강조의 의미가 쇠열이타령을 통해서도 드러난다고 보았다. 현재 쇠열이 타령에 대한 인식은 결례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쇠열이타령을 축소하기도 하는 등 쇠열이타령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기도 한다. <산거리>에서의 쇠열이타령 연행 여부가 결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처럼 쇠열이타령을 바라보는 인식이 다소 복합적이다. 쇠열이타령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는 최근 일어나고 있는 굿 환경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금기의 쇠퇴, 굿 연행 시간의 축소, 굿 연행의 간소화 등이 최근 황해도굿판의 대종을 이룬다. 이러한 변화상을 바탕으로 황해도굿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쇠열이타령의 연행 양상
Ⅲ. 쇠열이타령의 연행 위상
Ⅳ. 쇠열이타령의 기능과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