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DHD 진단기준을 위한 뇌파(EEG)와 정량뇌파(QEEG) 측정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of EEG and QEEG Measurements for the Diagnostic Criteria of ADHD

류창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consider and introduce “A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Measurements for the Diagnostic Criteria of ADHD.” “Because ADHD is often diagnosed in early childhood throughou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there are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degree of changes over time with or without intervention.” As diagnostic biomarkers of EEG and QEEG for ADHD, heterogeneity, robustness, interpretability, feasibility, and reliability, it is not an easy study to meet all criteria. It is still uncertain which combination of EEG biomarkers will ultimately be identified, but at least study approaches that actively accommodate theta/beta ratio (TBR), theta-phase gamma-amplitude coupling (TGC), diagnostic heterogene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reviously proposed subtypes, such as the cortical hypoarousal pattern, the maturational lag pattern, and the cortical hyperarousal pattern, need to be reverified as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for the diagnostic criteria of ADHD. In order for EEG and QEEG to be used as useful clinical tests for the diagnosis of ADHD in children and adults in the future, various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must be continuously studied and provided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particular, ADHD cortical activity in adulthood ADHD appears atypical compared to childhood ADHD, and EEG abnormalities change according to maturation/developmental stages. Therefore, longitudinal studies should be supported to observe and revalidate why these results occur.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필 및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기준을 위한 뇌파(EEG)와 정량뇌 파(QEEG) 측정의 유용성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리뷰하는 데 있다. ADHD는 흔히 다른 발달단계 에 걸쳐 초기 아동기에 진단되기 때문에, 개입이 있든 없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의 정도에 상당한 변동이 존재한다. ADHD에 관한 뇌파(EEG)와 정량뇌파(QEEG)의 진단적 생체지표(diagnostic biomarkers)로서 이질성(heterogeneity), 견고성(robustness), 해석가능성(interpretability), 실행 가능성(feasibility), 신뢰성(reliability), 타당성(validity) 등 모두에 부합하는 것이 쉬운 연구가 아니다. 궁극적으로 뇌파(EEG) 생체표지의 어떤 조합이 식별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나, 적어도 세 타/베타비(TBR), 세타상 감마진폭 커플링(TGC), 진단적 이질성(diagnostic heterogeneity), 개 인차(individual differences)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연구접근방법과 더불어 기존에 제기된 아형들인 각성저하형(cortical hypoarousal pattern), 발달지연형(maturational lag pattern), 각성고조형(cortical hyperarousal pattern) 등도 ADHD 진단의 전기생리학적 생체지표로 재검 증이 필요하다. 향후 아동과 성인 ADHD 진단을 위한 뇌파(EEG)와 정량뇌파(QEEG)가 유용한 임상검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기생리학적 생체지 표들이 지속해서 연구되어 제공돼야 한다. 특히 ADHD 피질 활동이 성인기 ADHD는 아동기 ADHD와 비교해 이례적(atypical)으로 나타나며, 뇌파(EEG) 이상(abnormality)은 성숙(maturation) /발달변화(developmental changes)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왜 이러한 결과가 초래하는지를 관 찰하고 재검증하기 위한 종단 연구가 뒷받침돼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ADHD에 관한 뇌파(EEG) 연구
Ⅳ. ADHD에 관한 정량뇌파(QEEG) 연구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창현 Ryu, Chang Hyun. 경기대학교 교정상담교육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