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Community-Care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of Elderly Community-Dwelling People

황도연, 류성현, 최초롱, 권기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help establish policie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of elderly community-dwelling peopl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a community-care program with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A community-care program for 26 elderly people was provided in multiple ways after collecting opinions through meetings conducted by an expert group.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the Korean version of the Fall Efficacy Scale (K-FE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R)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After the interview and initial evaluat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1 to 2 times per week (60 minutes each time), and 6 times in total.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asking for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a revaluation. Results: The AHA, K-FES, and GDS-KR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community-car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After the program,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dependence, difficulty, and safety) and fall efficacy improved and depression decreased. In additio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were answered at above the normal level.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community-care program with occupational therapists has positive effec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of elderly community-dwelling people. In the future, we hope that studies on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will be conducted, an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foundation for policy making related to community-care.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 상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 후 복합적으로 제공하였다. 평가 도구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 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한국어판 낙상 효능 척도(Korean version of Fall Efficacy Scale; K-FES),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R)를 사용하였으며, 면담과 초기평가를 실시한 다음 주 1-2회(1회 60분), 총 6회기 동 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재평가와 함께 만족도, 효과성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 전과 후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 평가 점수 모두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프로그램 전보다 후에 일상생활활동(독립성, 어려움, 안전성)과 낙 상효능감은 향상, 우울은 감소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후 만족도와 효과성은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 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커뮤니티 케어 관련 정책 수립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 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
3. 평가 도구
4. 연구 절차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프로그램 전, 후 일상생활활동 비교
2. 프로그램 전, 후 낙상효능감 및 우울 비교
3. 프로그램 후 만족도 및 효과성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황도연 Hwang, Do-Yeon.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작업치료사
  • 류성현 Ryu, Sung-Hyun.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작업치료사
  • 최초롱 Choi, Cho-Rong.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작업치료사
  • 권기현 Kwon, Ki-Hyun.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작업치료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