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으로 유학 온 유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어려움과 원인 탐색 및 요구 분석

원문정보

Th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riting Difficulties in Korea Higher Education

이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cademic writing difficult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in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Data was gathered from a mix of methods: text analysis, interviews. At first, findings of text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mistakes related to ‘grammar & sentence expression’ were the highest. Then, followed by ‘vocabulary’, ‘composition & flow’, ‘quotation’, ‘discourse context’ consecutively. By comparison, in the findings of interview data analysis,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nything related to ‘vocabulary’ is the hardest of all. With this, there are writing difficulties in sequence ‘grammar/sentence’, ‘lack of writing time’, ‘writing thesis’, ‘understanding the different system between mother tongue and Korean’, ‘code-switching’.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s of writing difficulties, researcher examined participants’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Main six causes emerged: (ⅰ) non-academic purposive writing practices, (ⅱ) academic purposive writing practices of which becomes ineffective to unfitting level and aim of the student, (ⅲ) lack of writing practices, (ⅳ) lack of feedback and revision Processes, (ⅴ) teaching quality of non-Korean teachers, teaching quality of native Korean teachers. Lastly, according to the needs analysis for writing improvement, participants wanted that: (ⅰ) sufficient feedback and revision process with correction instruction program, (ⅱ) imitative writing method, (ⅲ) well balanced lesson between vocabulary and grammar, (ⅳ) levelled and various class options, (ⅴ) effective pre-sessional course.

한국어

본 연구는 텍스트분석과 인터뷰를 통해 국내 유학생들이 겪는 학술적 글쓰기의 어려움들과 그 발생 원인들을 진단하고 효과적인 글쓰기 교수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1차로진행된 참여자들의 텍스트 분석 결과에 따르면 ‘문법·문장표현’과 관련된 오류들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어휘’, ‘구성·전개’, ‘자료인용’, ‘담화맥락’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2차로 진행된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글쓰기의 어려움들은 ‘어휘’와 관련된 사항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문법 응용하기’, ‘작문시간 부족’, ‘논문작성법’, ‘비교언어학적 이해’, ‘코드 스위칭’의 순서로 나타났는데, 이는 1차의 텍스트 분석과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임으로서 그들이 인식하고있는 어려움들과 실제 간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어려움들의 발생 원인들을 파악해 보기 위해 참여자들의 교수학습 경험들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살펴본 결과 학문 목적과 무관한 글쓰기 수업, 학습자들의 수준과 목적이 고려되지 않은 비효율적 교수학습, 충분한 글쓰기 연습을 위한 수업 부족, 불충분한 피드백과 첨삭과정, 한국어 비원어민 강사들 및 (비)전문적인 한국어 원어민 강사들의 교수실력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어려움들을 개선하고 글쓰기 향상을 위해 참여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는데 다섯 가지로 요약된 주요 사항으로는 ⅰ) 교수자들로 부터의충분한 피드백 제공 및 교내 첨삭지도 관련 프로그램 지원, ⅱ) 모방쓰기를 통한 충분한 쓰기 연습 제공, ⅲ) 문법과 어휘학습이 잘 조화 된 균형 잡힌 수업 제공, ⅳ) 학습자의 수준과 필요에 따라 분화되고 다양화 된 쓰기 수업 제공, ⅴ) 학습자의 목적에 맞고효율적인 입학 전 선행학습 과정 제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선행 연구 탐색
III. 연구 방법과 구성
IV. 연구 결과
1. 텍스트 오류 분석 결과
2. 인터뷰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미선 Misun Lee. 인천광역시 교육청 동아시아국제교육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