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분석 : 연구자, 교사,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tatus in Schools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Researchers, Teachers, and Students

김동진, 이슬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nd seek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opinions of various group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such as researchers, teachers, and students. To this end,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on 24 researchers and teach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69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ends to be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monocultural students. In addition,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emphasized on the level of knowledge, and the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ed on teach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past 15 years,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basi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prepared, it should now focus more on qualitative growth in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agent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growing,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이루어진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성과를 확인하고, 다문화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교사, 학생 등 학교 다문화교육과 관련있는 여러 집단의 의견과 인식을 통해, 학교 다문화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자 및교사 24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대상, 내용, 방법 등에 대한 심층적인 의견을 청취하였고, 중‧고등학생 369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문화교육의 내용, 방법, 자료 등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교육의 대상 측면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구분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다문화교육의 내용은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는 수준으로 지식 차원이 강조되고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교사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난 15년 이상 진행되어 온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제도 및 정책적 기반이 마련되었다면, 이제는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여러 행위 주체들의 연계와 협력 속에서 질적인 성장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상황에서 본 연구에서의 논의는 학교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다문화교육의 대상과 목적, 내용, 방법
III. 연구 방법
1. 델파이 조사
2. 설문조사
IV. 연구 결과
1. 연구자 및 교사의 다문화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
2. 학생들의 다문화교육 경험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진 Kim, Dongjin. 동국대학교 이주다문화통합연구소 연구초빙교수
  • 이슬기 Lee, Seulki.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