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정책에 대한 인문학적 제언

원문정보

Humanities Suggestions on Education Polic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오장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merged as a key word to dictate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term was first presented at the Davos Forum in 2016. The use of technology-induced changes as the term industrial revolution is because the changes caused by technology development have not been limited in terms of economic and industri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hange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driven not only in the industry but also in the hum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to seek a new standard of educational policy that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in Korea based on this. In this regard, this study first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rom the fact that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in 2016 prioritized the 'complex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personnel management', 'cooper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the ability of human resources needed to surv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ince 2020. This is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ability of humanities to drive as a result of educational innovation through educational innovation, and as a result, it is understood that the educational innovation plan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prepared through a more humanistic-based educational platform rather than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어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처음 그 용어가 제시된 이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변화를 지시하는 핵심어로 부상하였다. 기술에 의한 변화를 산업혁명이란용어로 사용한 것은 기술의 발전이 야기한 변화가 단순히 경제 산업적인 측면에서만제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이 산업뿐만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전반에 걸쳐 추동한 다양한 변화의 특징을 인문학의 시각에서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교육 현장에 적용가능한 교육정책의 새로운 표준(New Normal)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먼저 2016년세계경제포럼(WEF)이 2020년 이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인적자원의 능력으로 ‘복잡한 문제의 해결’, ‘비판적 사고’, ‘창의성’, ‘인사관리’, ‘협업’, ‘감성지능’ 등을 우선적으로 지목하였다는 사실에서 그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왜냐하면 이는 교육혁신을 통해 이룰 수 있는 내용으로서 대체로 인문학이 추동하는 능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서 요구하는 교육적 혁신방안은 과학기술 기반이 아닌, 좀 더 인문학 기반의 교육플랫폼을 통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인문학의 시각에서 본 4차 산업혁명의 특징
1. 인지의 혁명
2. 인공지능 기반의 네트워킹 사회(AI driven Networking Society)
3. NBIC 기술의 융합과 생명 혁명
III. 4차 산업혁명의 인문학적 의의
IV. 4차 산업혁명이 추동할 교육혁신의 방향
1.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적자원의 특성
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 역할
3. 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 기반의 교육혁신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장근 Oh Jang Geun. 국립목포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