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실드라마 참여자의 교실 공간 인식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Changes in Classroom Space Perception of Classroom Drama Participants

양승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spatial perception of Classroom drama participants. Classroom drama, which transforms the conventionally used classroom into a story space, is based on the change of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First, based on the theory,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perception of Classroom drama participants were analyzed. Sensation through body movement and sense of place according to experience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space. Next, investigat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Classroom drama,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y linking the Drama conventions of ‘exploring space’ and ‘defining space’. The seven participants observing the change in spatial perception are third-grade students belonging to W-Secondary school emergency children care. They came to the classroom even during the Corona 19.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7 weeks from the 3rd week of December 2020.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Classroom drama perceive the classroom as a place where various spatial layers such as 'Fixed space', fictional 'Imaginary space', 'Social space', and 'Creative space' are mixed. Second, the various movements implied in the Classroom drama make the participants actively reconstruct the classroom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movement. Third, the participants changed from a passive subject in the classroom to an independent subject after experiencing various spatial layers. Through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if the teacher's authority to organize the classroom is transferred to students who can change the perception of space, they grow as independent Classroom drama dire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교실드라마 참여자의 공간 인식 변화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습적으로 활용되는 교실 을 이야기 공간으로 전환하는 교실드라마 활동은 참여자의 교실 공간 인식의 전환을 기반으로 한다. 먼 저 이론을 토대로 교실드라마 참여자들의 공간 인식 요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몸의 움 직임을 통한 감각, 경험에 따른 장소감이 공간 인식에 영향을 끼쳤다. 또한 교실드라마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 후, ‘공간 탐색하기’와 ‘공간 만들기’ 활동을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공간 인식의 변화를 관 찰하는 참여자는 코로나 시국에도 교실에 오는 W초 긴급돌봄 소속 3학년 학생 7명이다. 본 연구는 2020 년 12월 3주 차부터 약 7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진행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실드라마를 체험한 참여자는 교실을 ‘고정된 공간’, 허구의 ‘상상의 공간’, ‘사회적 공간’, ‘창조적 공간’이라는 다양한 공간 층위가 혼재된 곳으로 인식한다. 둘째, 교실드라마에 내포된 다양한 움직임은 참여자들이 움직임의 필요에 따라 교실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게 만든다. 셋째, 참여자들은 다양한 공 간 층위를 경험한 후, 교실 속 수동적 주체에서 독립적 주체로 변화하였다. 연구를 통해 교사의 교실 구 성 권한을 교실 공간 인식 전환이 가능한 학생들에게 양도하면, 주체적인 교실드라마 연출가로서 변화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1. 용어의 정의
Ⅱ. 교실드라마와 공간
1. 교실드라마에 대한 이해
2. 교실드라마에서의 공간 인식
Ⅲ. 공간 인식 변화 탐색을 위한 교실드라마 프로그램 실행
1. 연구의 방법 및 절차
2. 프로그램 개요
Ⅳ. 참여자들의 교실 공간 인식과 변화 양상
1. 프로그램 참여 전, ‘고정된 공간’으로 교실 인식
2. 인식 변화 계기: ‘고정된 공간’에서 탈피
3. 프로그램 참여 후, 공간의 층위를 넘나드는 교실 연출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승지 Yang, Seung Ji. 의왕백운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