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사회적지지와 자율적 코칭행동이 운동선수의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그릿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Autonomous Coaching Behavior on Athletes' Sports Confidence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이상호, 박동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autonomous coaching behavior for athletes on athletes' sports confidenc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grit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we tri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xercise and exercise experience of athletes.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June 30, 2021.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in SPSS Ver. 23.0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social support, autonomous support coaching behavior, grit, and sports confidence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exercise type and athletic experience. Second, as for social support, it was found that leader support and parental support had an effect on sports confidence, and as for autonomous support coaching behavior, academic consideration and autonomous training had an effect on sports confide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ports confidence, gri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leader suppor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support coaching behavior and sports confidence, grit was found to have a fully mediating effect on autonomous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athletes.

한국어

본 연구는 운동선수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자율적지지 코칭행동이 선수의 스포츠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선수에게 요구되는 그릿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운동선수의 운동유형과 운동경력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율적지지 코칭행동, 그릿, 스포츠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21 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비대면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운동유형과 운동경력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율적지지 코칭행동, 그릿, 스포츠자신감 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지도자지지와 부모지지가 스포츠자신감에 대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적지지 코칭행동은 학업배려와 자율적 훈련이 스포츠자신감에 대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와 스포츠자신감의 관계에서 그릿은 지도자지지에 대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율적지지 코칭 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의 관계에서 그릿은 자율적 훈련에 대하여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가설 및 모형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 자료처리 방법
Ⅲ. 결과
1. 운동선수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분석
2.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3. 그릿의 매개효과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호 Sang-Ho Lee. 목포대학교, 교수
  • 박동수 Dong-Soo Park. 세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