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레깅스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를 기준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Leggings Perception Change with Big Data Analysis : Based on Covid-19

한기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consumer perceptions of leggings that have chang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with big data analysis. Using Textom, data was collected from Naver and Daum, and the collection period from December 1, 2016 to December 31, 2019 was set to pre-Covid-19 and from January 1, 2020 to April 30, 2021 to post-Covid-19. Based on refined data, frequency analysis, TF-IDF, emotional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Except for the search term leggings, in frequency analysis “Andar” was the highest before Covid-19, while sportswear was the highest after Covid-19, and the TF-IDF showed that “Andar” was the highest before Covid-19 and women was the highest after Covid-19. Emotional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positivity was higher than the rate of negativity for both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after Covid-19, the rate of positivity increased even more. According to the CONCOR analysis, pre-Covid-19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roducts and Features, Andar, Sweatwear and Mulawear, post-Covid-19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Brand and Utilization and Characteristics, Andar and SNS Impact. Unlike before Covid-19, many brands have appeared, and the use of leggings has also diversified. In addition, the impact of popular celebrities can be seen on SNS, while the impact of brand advertising models has likely decreased.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레깅스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Textom 을 사용하여 네이버와 다음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 기간은 2016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의 기간을 코로나-19 이전으로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의 기간을 코로나-19 이후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정제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TF-IDF, 감성 분석, 그리고 의미연결망 분석 및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색어 인 레깅스를 제외하고 코로나-19 이전은 “안다르”가 이후엔 운동복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TF-IDF는 코로나-19 이전은 “안다르”가 코로나 이후엔 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성 분석은 코로나-19 전후 모두 긍정의 비율이 부정의 비율보다 높았으며, 코로나-19 이후 긍정의 비율이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결과, 코로나 이전은 상품 및 특성, 안다르, 운동복 그리고 뮬라웨어의 4개 그룹으로 범주화되었으며, 이후는 브랜드 및 활용과 특성, 안다르 그리고 SNS의 영향으로 범주화되었다. 코로나-19 이전과 달리 코로나-19 이후 많은 브랜드가 등장했으며, 레깅스의 착용 용 도도 다양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S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셀럽들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으나, 반면 브랜드 광고모델의 영향은 감소한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문제
2. 자료수집
3. 조사도구
4. 자료처리
Ⅲ. 결과
1. 데이터 수집 결과
2. 텍스트마이닝 분석결과
3. 의미연결망 분석결과
Ⅳ. 논의
1. 텍스트마이닝
2. CONCOR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기향 Han, Ki-Hyang. 건국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