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령층 경력경로 유형화와 결정요인 분석 : 경제활동상태에 근거한 시퀀스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eterminants of Career Paths for the Elderly : Sequence Analysis Based on Economic Activity Status

양정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ategorized the career path based on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ach type. Survey data from the 1st to 6th waves of the KLoSA were used, and analyzed on the elderly who were 55 to 64 years old at the time of the 1st survey and wer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areer paths of the elderly could be classified into 8 types. Those who are self-employed or those who are engag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re highly likely to maintain the same economic activity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wage workers, only a few cases are classified as self-employment maintenance type 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maintenance type. Such an image of the aged labor market showed that job change between job classes wasn’t active, and even if they did, most of them failed and were unemploy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hourly wage for the current job,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retirement in the future. It implies that the more productive wage workers, the more they choose to retire and enjoy leisure rather than finding a new job.

한국어

본 연구는 고령층의 경제활동상태에 근거한 경력경로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고령화패널조사 1~6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1차년도 조사당시 55~64세이고 경제활동인구인 고 령층을 대상으로 시퀀스분석을 하여 유형화한 후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의 경력경로는 이직형, 은퇴형, 자영업은퇴형, 임금근로유지형, 자영업유지형, 임금근로은퇴형, 시간제이직형, 농림어업유 지형의 8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현재 자영업자이거나 농림어업 종사자인 경우 향후에도 동일한 경제활동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았고 임금근로자인 경우 자영업유지형이나 농림어업유지형으로 분류 되는 경우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여 임금근로자가 현재 일자리에서 퇴직하여 자영업이나 농림어업으로 전 직하여 성공적으로 정착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고령노동시장의 모습은 종사상 지위 간 이직이 활발하지 않고 이직을 한다 하더라도 대부분 실패하고 비경활인구됨을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임금근로자의 경우 현재일자리의 시간당임금이 높을수록 향후 은퇴형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생산성이 높은 임금근로자일수록 현재일자리에서 퇴직 후에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보다는 은퇴하 여 여가를 즐기는 것을 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령화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이들의 생산성을 활용하 기 위한 재취업지원서비스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1. 분석방법
2. 데이터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정승 Yang, Jung-Seung.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