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Goal Framing Based on Reward Type on Participation Intention of Reward-Based Crowdfunding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Goal Distance
초록
영어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how goal framing(% achievement rate vs. the number of backers) has an effect on donation intentions based on different reward types(more hedonic vs. less hedonic) and identifies its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 Study 1 shows that consumers’ donation intentions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hedonic attributes of rewards. In fact, the donation intention of consumers is low(vs. high) when less(vs. more) hedonic reward is provided, as they perceive the distance from the goal as close(vs. far). Study 2 demonstrates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level of hedonic attributes of rewards and goal framing on consumers’ donation intentions. Specifically, in situations where rewards have more(vs. less) hedonic attributes and goal framing is also presented with % achievement rate(vs. the number of backers), consumers' donation intentions become higher(vs. lower). We also confirm that these effects are mediated by consumers’ perceived goal distance. This implies that consumers perceive that the distance from the goal is closer when less hedonic rewards and % achievement rate goal framing are provided, which therefore leads to higher donation inten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후원형 크라우드 펀딩 상황에서 보상물의 쾌락적 속성 정도(more hedonic vs. less hedonic) 에 따른 후원 의도가 목표 프레이밍(% 달성률 vs. 누적 후원자 수)에 따라 달라짐을 검증하고, 이에 배 경하는 심리적 기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번의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물의 쾌락적 속성 정도에 따라 소비자의 후원 의도가 달라졌다. 즉, 쾌락적 속성이 낮 은(높은) 보상물의 경우, 소비자들은 목표와의 거리를 더 가깝게(멀게) 인지하여, 더 높은 후원 의도를 나타냈다(실험 1). 둘째, 보상물의 쾌락적 속성 정도에 따른 후원 의도는 제시된 목표 프레이밍에 따라 달라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쾌락적 속성이 낮은(높은) 보상물의 경우, “% 달성률”(누적 후원자 수) 로 제시된 목표 프레이밍이 후원 의도를 더 높이는(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물의 쾌락적 속성 정도에 따른 목표 프레이밍이 후원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지각된 목표와의 거리를 매 개하여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쾌락적 속성이 낮은(높은) 보상물의 경우, 제시된 “% 달성률”(누적 후원 자 수)의 목표 프레이밍은 소비자의 지각된 목표와의 거리를 더 가깝게 인지하여 후원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2).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가설
1. 후원 상황에서 보상물(reward)과 목표와의 거리(goal distance)
2. 후원 상황에서 보상물(reward)과 목표 프레이밍(goal framing)
Ⅲ. 실험 1
1. 실험 목적 및 설계
2. 실험 자극 및 절차
3. 조작 점검
4. 결과
5. 결론 및 논의
Ⅳ. 실험 2
1. 실험 목적 및 설계
2. 실험 자극 및 절차
3. 조작 점검
4. 결과
Ⅴ.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나민 (2017), “기업의 비윤리적 행동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행동유형, 제품유형,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5(3), 83-105.
- 2나준희 (2020), “기부 광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상품학연구, 38(6), 53-57.
- 3박종철, 임지원, 홍성준 (2014), “사회적 감정공유와 동기 체계가 목표달성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목표몰입의 매개역할,” 마케팅논집, 22(3), 95-114.
- 4안동균, 유병희 (2018), “상품 네이밍의 진단성과 은유성이 소비자 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29(3), 137-156.
- 5이기록, 최진아, 김재진 (2015), “브랜드 및 소비자 성격 특성이 동일시와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미치는 영향: 컬트브랜드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마케팅논집, 23(3), 179-208.
- 6이희욱 (2002), “음주운전예방을 위한 공익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관여도의 조절역할,” 마케팅논집, 14(2), 123-141.
- 7정지호 (2018, 03, 15), “대중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는 크라우드펀딩,” 카이스트신문. 2021, 03, 10, from htrtp://times.kaist.ac.kr
- 8정효진, 구동모 (2014), “도덕적 허가 효과: 자원봉사와 사치제품 구매 정당화,” 마케팅논집, 22(4), 105-130.
- 9천성용 (2015), “쿠폰 할인 프레이밍과 조절 초점이 온라인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23(1), 47-62.
- 10천혜숙 (2015), “창의적 프로젝트와 후원형 크라우드펀딩: 성공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560-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