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describes how Margery Kempe, a 14th-century British female mystic, used the body in her religious activity and how it affected the church and clergy of her time. In early Christianity, the body was generally perceived as negative, but gradually it began to be regarded as a means of enhancing faith. Entering the High Middle Ages, a new religious practice of using body began to be created. This gave women who were considered more physical and emotional than men at the time and had little opportunity to encounter organized theology a chance to create their own practices of faith. Medieval holy Women felt God through their physical senses in a vision and experienced the pain of Christ through extreme abstinence. Margery was familiar with these religious practices because she read many holy women's texts. As spending her whole life in the secular world, she applied these to her own situation. As a result, Margery's unique way of faith emerged, distinguished from other female saints. Margery actively used her own body to reach God. She felt Christ through her five senses, negotiated with her husband to make a vow of chastity, and reclaimed her right to her own body. Margery, who was qualified as the Bride of Christ through that, revealed her own new identity to the world by wearing her white clothes. Tears and cries are the most prominent parts of Margery's religious practice of using the body. She felt the pain of the Crucifixion on several occasions, agonizing, crying out loud, and twisting her body. This was to fully comprehend the suffering of her Christ in the flesh, reveal it again in her own body, and imitate the sorrows of the Virgin Mary. However, although tears were viewed as a divine gift in Christian tradition and many holy women shed tears in contemplation of the Passion of Christ, Margery's tears came under heavy condemnation from her community and church. In The Book of Margery Kempe, Margery describes her tears as helping people understand Christ and come to salvation. However, the function of tears that Margery said overlapped with that of the clergy, and was sufficient to threaten their role and authority. Also, Margery revealed to many people that she was a special recipient of God's favor by screaming in public places, such as roads and churches, rather than in private places. Margery's religious practices of using her body combined with her active and bold personality hence she was rejected by male-dominated community and church. In the end, Margery's characteristics as holy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Book of Margery Kempe as a hagiography have declined.
한국어
이 글은 14세기 영국 여성 신비주의자 마저리 켐프가 자신의 신앙 활동에서 몸을 어떤 식으로 사용했는지 또 이것이 당시 교회와 성직자들에게 어떤 영향 을 주었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초기 그리스도교에서 육체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 으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신앙을 고양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지기 시작했고 중세 성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육체를 이용한 새로운 신앙의 관행이 만들어지 기 시작했다. 이것은 당시 남성들보다 육체적이고 감정적인 존재로 여겨지며, 체계적인 신학에 접할 기회를 거의 얻지 못한 여성들에게 자신들만의 신앙의 관행을 만들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여성 신앙인들은 극단적인 금욕을 통해 그리스도의 고통을 체험했고 환상 속 에서 육체적 감각을 통해 신을 경험했다. 평생을 세속에서 살았던 마저리는 다 양한 여성 신앙인들의 글을 읽고 이를 자신의 상황에 적용시켜 나갔고, 그 결과 다른 여성 성인들과 구분되는 마저리만의 독특한 신앙 방식이 나타났다. 마저리 는 신에게 다가가기 위해 자신의 몸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인물이었다. 그녀는 오감을 통해 그리스도를 느끼고, 남편과 협상하여 정절의 서약을 맺음으로써 자 신의 몸에 대한 권리를 되찾는다. 이를 통해 그리스도의 신부라는 자격을 획득 한 마저리는 흰옷을 입어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을 세상에 드러내고 있다. 눈물과 울부짖음은 마저리의 몸을 이용한 신앙의 관행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그녀는 수차례에 걸쳐 수난 받는 그리스도의 고통을 느끼면서 괴로워 하고 큰 소리로 울부짖고 몸을 뒤틀었다. 이는 육체를 지닌 그리스도의 고통을 온전히 이해하고 그 고통을 다시 자신의 몸으로 드러내는 것이었고, 성모 마리 아의 슬픔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비록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눈물이 신의 은총으로 여겨졌고 많은 여성 신앙인들이 그리스도의 수난을 묵상하며 눈물을 흘렸음에도 불구하고, 마저리의 눈물은 그녀가 속한 공동체와 교회로부터 엄청난 비난을 받는다. 『마저리 켐프 서』에서 마저리는 자신의 눈물이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이해하 고 또한 구원에 이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마저리가 말하 는 눈물의 기능은 당시 성직자들의 기능과 겹치는 것으로 그들의 역할과 권위 를 위협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마저리는 사적인 장소가 아닌 길이나 교 회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울부짖음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신의 특별한 은총을 받은 자임을 드러내고 있다. 몸을 이용한 마저리의 신앙 방식은 그녀의 적극적이고 대담한 성격과 결합되면서 남성중심적인 공동체와 교회에 거부감을 주었고 결국 신앙인으로서의 마저리가 가지는 특징과 『마저리 켐프 서』가 가지 는 성인 전기로서의 의미를 쇠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목차
Ⅱ. 그리스도교와 육체
Ⅲ. 몸의 소유권 이전과 마저리의 정체성 변화
Ⅳ. 마저리의 눈물과 권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참고문헌
- 1Augustinus, Aurelius. Confessionum. 김평옥 옮김. 『성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서울: 범우사, 2002.
- 2Clairvaux, Bernard. On the Song of Songs of Bernard of Clairvaux. 엄성옥 옮김. 『클레르보의 베르나르의 아가서 설교 제1권』. 서울: 은성, 2010.
- 3Kempe, Margery. The Book of Margery Kempe. Translated by Anthony Ba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 4Kempe, Margery. The Book of Margery Kempe. 정덕애 옮김. 『마저리 켐프 서』. 서울: 황소자리, 2010.
- 5Norwich, Julian. Revelations of Divine Love. Translated by Spearing Elizabeth. New York: Harmondsworth, 1999.
- 6Norwich, Julian. Revelations of Divine Love. 엄성옥 옮김. 『하나님 사랑의 계시』. 서울: 은성. 2007.
- 7박윤희. 「소음만이 가득한 사회에서: 마저리 켐프와 바쓰댁을 통해서 본 중세여성의 외침소리」. 『신영어영문학』 25 (2003): 67-89.
- 8윤민우. 「마저리 켐프와 영국남성 명상주의: 상상적 비전에 관하여」.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19 (2010): 5-33.
- 9Atkinson, Clarissa. Mystic and Pilgrim: The Book and the World of Margery Kemp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 10Beckwith, Sarah. Christ’s Body: Identity, Culture and Society in Late Medieval Writings. London: Routledge,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