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두 왕국 최전선의 도시 칼레

원문정보

Calais at the Forefront of the Two Kingdoms

성백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alais is a city fraught with the memories of numerous scenes and events that took place during the Hundred Years’ War. Among them, the famous episode about ‘The Bourgeoisie of Calais’ is literally just a legend from the dramatizations of chroniclers such as Jean Le Bel and Jean Froissart, but it symbolizes the new fate of Calais transformed into an English city in French soil. As the key and bridgehead into France, Calais needed a financial base to maintain its role as a permanent outpost within the enemy state. The garrison, permanently stationed at Calais, laid an enormous burden on the royal finances. The wool staples and merchants’ company established at Calais in 1363 were a win-win situation for the city’s long-standing military base. These developments allowed Calais to play a more important role as a trading base than its original military base. As Jean Favier puts it, “England begets the prosperity of Bordeaux, but Calais begets the prosperity of England.”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dual aspect of Calais, which met its new fate as a city of the military-commercial complex at the forefront of the two kingdoms.

한국어

칼레는 백년전쟁 동안 펼쳐진 수많은 장면과 사건들의 기억이 서려 있는 도시이다. 그중에서도 ‘칼레의 부르주아들’에 관한 유명한 에피소드는 장 르벨, 프루아사르 같은 연대기작가들의 극화에서 비롯된 말 그대로 전설에 불과한 것이지만, 프랑스 땅 안의 영국 도시로 변모한 칼레의 새로운 운명을 상징한다. 프랑스로 들어가는 열쇠이자 교두보로서 칼레는 적국 내의 항구적인 전초기지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 재정적 기반을 필요로 했다. 칼레에 상시 주둔한 수비대는 영국왕의 재정에 막대한 부담을 지웠다. 1363년에 칼레에 설치된 양모 스테이플과 상인들의 회사는 칼레가 오랫동안 군사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있게 해준 일거양득의 방책이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칼레는 애초의 군사도시로서의 역할보다 상업도시로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장 파비에의 말처럼 “영국은 보르도의 번영을 낳았지만, 칼레는 영국의 번영을 낳았다.” 이 글은 두 왕국의 최전선에서 군(軍)・상(商) 복합도시로서 새로운 운명을 맞게 된 칼레의 이 같은 이중적 면모를 조명한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칼레의 부르주아들’
Ⅲ. 프랑스 안의 영국 도시 칼레
Ⅳ. 스테이플의 도시 칼레
Ⅴ.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성백용 Baik Yong SUNG. 한남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