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성 관련 변인 중심 국내 집단미술치료 연구동향 : 2000년~2020년 논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rends of Group Art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Sociality-Related Variables : Review of Published Studies from 2000 to 2020

강명지, 임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overall trend of group art therapy research on sociality-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based on analyzing the topic from 2000 to 2020, the autho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flow by subject, method, and content.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age of the study subjects, children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four to eight. Second, according to the examining the type of study in the research method, integrated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 and the total treatment sessions were nine to 16 sessions, the treatment time for each session was 60 minutes or more. In the analysis by assessment, the sociability test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the individual session record for the qualitative assessment, and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for the projective tes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age group of the study subjects, and detailed analysis of the research tools and programs used in identifying the research flow of group art therapy focusing on sociality-related variables. With this as the basis, it is expect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sociality-related group art therapy research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clinical fiel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성 관련 변인 집단미술치료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 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사회성 관련 변인 집단미술치료 연구를 분석 함으로써 연구 대상별, 연구 유형별, 연구 내용별 연구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 학위논 문 및 학술지 논문 총 200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에 서 연령별 분석은 아동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은 환경적 변인이 높은 비중 을 차지하였고, 연구 대상의 참여 인원은 4∼8명이 높은 빈도로 분석되었다. 연구유형에서 연 구 방법은 통합 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치료 총회기는 9∼16회기, 회기별 치료시간은 60분 이상 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별 분석에서 양적 평가 검사 도구는 사회성 검사, 질적 평 가 검사 도구는 개인별 회기 기록, 투사 검사 도구는 동적 학교 생활화(KSD)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에서 연구주제는 다중 변인이 많았으며. 프로그램 유형은 다중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성 관련 변인 중심 집단미술치료의 연구 흐름을 파악하 여 사용된 연구 도구, 프로그램 세부 분석을 살펴보았으며 사회성 관련 검사도구의 재정립과 연구 대상의 연령층 확대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성 관련 집단미술치료 연구의 기반으로써 앞으로의 후속 연구와 임상현장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분석논문 선정기준
2. 분석기준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별 동향
2. 연구유형별 동향
3. 연구내용별 동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명지 Kang, Myeong-Ji.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미술치료학전공 석사
  • 임나영 Lim, Na-Young.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미술치료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다영ㆍ임나영(2016). 미술치료사가 인식하는 투사적 기법 중심 미술치료의 효용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6.2 : 1-16.
  • 2김도희(2014).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0.4 : 213-239.
  • 3김세희(2019).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 동향 (2005년~2018년).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차의과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 4김정임(2010).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성향상에 미치는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0.2: 51-79.
  • 5남주현(2014). 의료사회복지사의 서비스와 친사회성의 연관관계에 대한 효과성고찰.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6문리학(2008).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7박명희(2003).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8박소연․정여주(2021). 동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 국내연구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17.2 : 57-85.
  • 9박정미․박은선(2021). 집단미술치료가 또래관계 어려움을 호소하는 초등학생의사회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7.1 : 309-336.
  • 10박주영․최일선(2012). 창작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41.2 : 369-390.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