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 A Systematic Review

원문정보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행위 : 체계적 문헌고찰

Lingru Guo, Hyunli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using global data.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review guidelines, full-text articles published on PubMed, CINAHL, Embase, and Cochrane Library were reviewed until 31 January 2021. The reference lists of all selected studies have been also included. The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screening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ged ≥18 years were assessed. Seventeen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The cancer screening behaviors included mammograms, clinical breast cancer examination, Papanicolaou test, colonoscopy, and PSA screening. Eleven studies reveal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and guidelines on cancer health knowledge. The research scope of all areas of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should be extended to improve the cancer screening rates and public health.

한국어

글로벌 데이터를 사용하여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 다. PRISMA 리뷰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1년 1월31일까지 PubMed, CINAHL, Embase, Cochrane Library 4개의 웹 데이터베이스에 발표된 원문을 검색하였으며, 참고문헌 목록을 통해 추가로 검색하였다. 18세 이상의 참여자,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포함 기준에 충족되는 17건의 원문은 암 건강정보문해력 을 측정했고 암 조기진단 행위에는 유방 촬영술, 임상 유방암 검진, Papanicolaou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 PSA 검진 등이 포함되었다. 그중에 11건의 원문에서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 사이는 통계적으로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암 건강 지식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과 가이 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암 조기진단율 과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해서 암 건강 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에 관한 모든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야 한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1.1 Background
1.2 Purpose
2. THE REVIEW
2.1 Design
2.2 Subjects
2.3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2.4 Search method
2.5 Data collection
2.6 Search outcome
2.7 Quality appraisal
3. RESULTS
3.1 Results of quality appraisal
3.2 Interventions and outcomes of RCT and NRSs
3.3 Measurements and outcomes of surveys
4. DISCUSSION
5. CONCLUSIONS
Appendix

저자정보

  • Lingru Guo 곽영여. Graduate Student,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Hyunli Kim 김현리.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