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의 가로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 With Case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in Busan City -

최강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s have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 preferred place for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for the making of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For that,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 in Busan, about site overview, street spatial composition, building use, streetscape and street furniture.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1) Stree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pedestrian space and environment. (2) The existing main use and the newly introduced use need to be coexisted. (3) The identity of the street must be maintained through adaptive reuse, etc. (4) The voluntary forma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the planned making of the public need to be cooperated.

한국어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장소로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목형 도시상업가로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방법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의 대표 적인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인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 하여 사례대상지 개요, 가로공간구성, 건축물 용도, 가로경관, 가로시설물에 대하여 가로공간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 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공간 및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 째, 기존에 입지한 주요용도와 새로 도입된 용도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적응적 재사용 등을 통한 가로의 정체성 유지가 필요하다. 넷째, 민간에 의한 자생적 형성과 공공에 의한 계획적 조성의 협력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도시상업가로
2.2 골목형 도시상업가로
2.3 선행연구 고찰
3. 사례분석
3.1 전리단길
3.2 망미단길
3.3 분석의 종합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강림 Kang-Rim Choi.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실내건축학과‧대학원 도시재생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