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ADHD 증상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굼뜬 인지적 템포(SCT)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DHD Symptom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ating Roles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luggish Cognitive Tempo(SCT)

박소희, 장혜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sluggish cognitive tempo(SCT) in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 ADHD symptom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290 Korean college students (126 males, 164 females) who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adult ADHD symptoms,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 dysregulation, and SCT.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SCT and emotion dysregulation ea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inattention symptom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Moreover, SCT and emotion regul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attention symptom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urthermore, emotion dys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hyperactivity-impulsivity symptom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 dysregulation and SCT may explain the processes by which ADHD  symptoms contribute to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that they may be promising targets of the intervention for adults who show ADHD symptoms.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성인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증상이 대인관계유 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굼뜬 인지적 템포(Sluggish Cognitive Tempo: SCT)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290명(남성 126명, 여성 164명)을 대상 으로 ADHD 증상, 정서조절곤란, SCT, 대인관계유능성 수준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어서, 각 ADHD 증상이 대인관계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차별적인 기제를 파 악하기 위해 ADHD 부주의 증상과 ADHD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 각각 대인관계유능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확인하는 경로모형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부주의 증상과 대인관계유능성 의 관계에서 SCT와 정서조절곤란 각각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SCT와 정서조절곤란을 순 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잉행동-충동성 증상과 대 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증 상을 보이는 성인의 대인관계유능성을 높이는 개입에서 정서조절곤란과 SCT가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참가자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ADHD 부주의 및 과잉행동-충동성 증상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SCT의 매개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소희 Sohee Park.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 장혜인 Hyein Chang.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