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여성 청소년 한부모의 스트레스 수준과 학업지속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이 미치는 영향 : 여가 및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and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of Adolescent Female Single-par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Culture and Info-communication Cost

이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social support for single parents in leisure, culture, and info-communication areas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stress situations on academic continuity in single parents. To this end, technical statistics and logistic analysis were conducted on 248 single parents who were pregnant or pregnant at the age of 18 or older and raised their children after childbirth. As a result, one out of every four beneficiaries were involve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cademic continuation by adjusting the stress-induced tendency of single parents to stop studying due to leisure, cultu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xpenses. These results show that leisure, cultur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upport are effectivel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academic sustainability of single parents who want to stop studying due to stress relief and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leisure, culture, and social support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s for the academic continuation of single parents of teenag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한부모의 스트레스 상황이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 문화, 정보통신 영역에서 의 한부모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지 검증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임신 중인 자나 임신해 있으면서 출산 후 자녀를 양육할 계획을 가진 자, 자녀를 낳아 키우고 있는 청소년 한부모 248명을 대상으 로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명 중 1명이 수혜자로, 청소년 한부모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학업 중단 경향을 여가,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이 조절하여 학업지속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 문화, 정보통신비 지원이 스트레스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려는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 로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을 위해 여가와 문화, 정보통신 영역에서의 사회적 지원 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문제
2. 선행연구 고찰
2.1 청소년 한부모를 위한 사회적 지원 동향
2.2 청소년 한부모의 학업지속에 미치는 요인들
3. 연구 방법
3.1 연구자료 및 분석대상
3.2 주요 변인 및 측정도구3.2.1 인구사회적 특성 및 통제변인분석 대상의 현황 파악을 위해 연령과 학력, 원가정 유형, 부모와의 동거여부, 취업여부, 자녀 취학여부를 파악하였다.연령 변인은 조사 시점을 토대로 생년월일에 따라 산술하여 연속형 변수로 생성하였고, 19세를 기준으로 성년과 미성년을 구분해 이분형 변인을 만들었으며, 미성년을 기준변인으로 채택해 통제변인으로 투입하였다. 학력은 학업지속자들의 현 교육수준과 학업 중단자들의 최종학력을 병합해 생성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이상인 집단을 구분하고, 중졸 이하와 고교재학 이상의 이분형 변수를 생성해 고교재학 이상인 자를 기준으로 채택해 통제변인으로 투입하였다. 원가정 유형은 양친가정, 계부모가정,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위탁가정(친인척 포함), 대안가정(그룹홈, 보호시설 등), 기타로 응답하도록 되어있는 질문으로 양친가정, 계부모가정, 한부모가정, 조손가정, 기타의 5가지 유형으로 재구분해 활용하였고, ‘현재 귀하와 함께 생활하는 사람을 모두 표시해 주십시오’라고 묻는 질문을 토대로 부모와의 동거여부 변인을 생성해 규모를 살펴보았다. 취업여부는 ‘현재 귀하는일을 하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으로 비율을 산출하고, 비취업자를 기준으로 통제변인으로 투입하였다. 자녀의 취학여부는 해당하는 질문으로 초등학교 재학 중인 자녀가1명 이상인 경우를 취학 상태로 보아 규모와 비율을 살펴보았다.3.2.2
3.3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4.1 분석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
4.2 여가 및 문화 바우처, 정보통신비 수혜 현황
4.3 스트레스와 학업지속 간의 관계에 미치는 여가 및 문화 바우처, 정보통신비 지원의 효과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윤정 Yoon-Jung Lee.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