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팬 아트의 이론화인가 실천 중심인가 : 매니폴드와 ‘방법론으로서의 팬덤’ 비교

원문정보

Whither Theorization or Practice-Based in Fan Art : Comparing Manifold with ‘Fandom as Methodology’

윤소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compare Manifold’s theorization of fanart as crafting with the recent fanart study by ‘methodology as fandom’ in England. Within the context of European culture, we undertake a comparative analysis by illuminating the specific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nifold’s conceptualization of the Medieval guild’s crafting as a canon of comtemporary fanart’s creation of culture and ‘fandom as methodology’ espoused by the England Goldsmiths school. Toward this goal, Henry Jenkins’ version of fanart has been utilized as a reference point of comparison. Manifold argues that the youth motivations toward fanart production are mainly drawn from a search for self-identity. And the young fan artists further desire to contribute to cultural creation externally toward the prosperity of fandom community. He examined these processes from the historical evidences of crafting in the guild. On the while, Goldsmiths points to a practice-based research in order to unravel such underground issues as gender, class, and racism by delving into fandom study as a method for undertaking scholarly examinations over these. ‘Fandom as Methodology’ explains fanart or art practice from the cases of DIY, Practice-Based research, and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fandom.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comparison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Jenkins’s perspective downgrading personal emotions and affective elements, both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fanart by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affective elements in the construction of fandom. In so doing, both contribute to the opening of independent area of academic study for fanart. Nonetheless, we discover apparent differences with respects to fandom activities between Manifold’s traditional academic approach and Goldsmiths’s practice-centered research. The outcome of this study may recommend the pursuit for global fandom a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fandom study, then Korea’s fandom school’s participation being urgently demanded.

한국어

이 연구는 팬덤 연구와 팬 아트를 유럽문화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중세의 길드 제도 문화를 팬 아트의 문화 창조의 원전으로 보는 매니폴드의 이론과 영국의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출간한 ‘방법론으로의 팬덤’을 비교·분석하였다. 현대 팬덤 이론의 대부로 인정받는 헨리 젠킨스의 팬 아트론 을 비교의 준거로 설정하였다. 매니폴드는 청소년의 팬 아트 창작 요인은 정체성 추구에서 발현되며 팬덤을 통해 자신의 이해보다는 공동체를 위해 새로운 문화 창조를 이룬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을 중세의 길드 제도 맥락으로 설명하고 있다. 골드스미스 학파는 언더그라운드 이슈를 학문적으로 접근 하고 분석하기 위해 팬덤을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실천중심의 연구를 선보였다. 방법론으로서의 팬덤 은 팬 아트를 팬-스칼라의 입장에서 DIY, 실천중심 리서치, 그리고 온라인·오프라인 팬덤의 혼합을 몇 개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팬덤 구성에서 개인적, 정서적 요인과 팬 아트를 하위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젠킨스와 달리, 두 학파는 각각 예술실천과 팬 아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팬 아트가 독립적인 예술 영역으로 설 수 있도록 중대한 공헌을 끼쳤다. 매니폴드의 전통적 인 학문적 접근과 골드스미스의 실천중심 연구 접근은 팬덤 활동에서 확연한 차이점을 보이나, 양 학파는 팬덤 연구의 지향점을 글로벌 팬덤의 구축으로 추천했으며, 한국 팬덤 학계의 참여도 요구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젠킨스의 팬 아트론
Ⅲ. 매니폴드의 팬 아트론
1. 전통적인 학문적 접근
2. 자아정체성 크래프팅(crafting): 자아의 형성과 확장
3. 길드의 공예(Crafting) 수련
4. 팬 아트의 문화 창조
5.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반대
Ⅳ. 방법론으로서의 팬덤
1. 골드스미스 학파
2. 팬-스칼라 (Fan-Scholar)
3. 저항적 실천으로서의 팬덤
4. DIY
5. 온라인과 오프라인 팬덤의 혼합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정 Yoon So-Jung. 홍익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