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특성이 발현된 사진, 영화 매체 분석 - 만 레이, 랄프 깁슨 그리고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Analysis on Photographic & Cinematic Media with Heterotopian Characteristics : With Man Ray, Ralph Gibson, and the Film Parasite at the Center

김지민, 김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plore photographic works of Man Ray and Ralph Gibson together with South Korean film Parasite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a concept introduced by Michel Foucault. Photography that creates a spatial form is reproduced right in front of our eyes while film conveys a higher level of—even near-perfect—vividness compared to photography. This paper reestablishes Foucault’s heterotopian characteristics in those two media—both of which work in a similar but different manner—and ultimately investigates the above-mentioned works from various angles. Man Ray goes beyond the use of conventional traditional media, expressing the record of contact with real objects, not abstractions. He expresses contradictory situations by using a ‘Depaysement’ technique that links to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In the case of Ralph Gibson, beyond photographic reproduction, the place in his daily life is welcomed and recreated as a fantastic space, leading the audience to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Places in the film Parasite are depicted in a way that they are distinguished from the real world. For such reason, the film is interpreted in diverse ways. Given its narrative development, the living room in the film where a dramatic event occurs can be explained as a subversive place that contains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staircase that is differently organized and edited from the actual shooting place, also exhibits heterotopian characteristics. The staircase that seems there is no end visually constructs fantasy, going beyond just a fantastical element.

한국어

본고는 미쉘 푸코(Michel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사진작가 만 레이(Man Ray), 랄프 깁슨(Ralhp Gibson)의 작품, 그리고 영화 기생충을 읽어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진은 공간적 형상으로 우리 눈앞에 재현되며, 영화는 그보다 더욱 완벽한 생동감을 펼쳐낸다. 비슷한 듯, 다르게 작동하는 두 매체에 나타난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이론 속 특징들을 재정립하여, 다각도의 시선으로 해당 작품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만 레이는 관습적 전통 매체의 사용을 뛰어넘어, 추상이 아닌 실제 사물과의 접촉으로 생겨난 기록을 표현해낸다. 그는 헤테로토피아의 특징과 연결되는 데페이즈망 기법을 사용, 모순적 상황을 표출해낸다. 랄프 깁슨의 경우 사진적 재현을 넘어, 일상 속 장소를 재탄생 시켜 무의식의 세계로 관객을 인도한다. 영화 <기생충> 속 공간들은 현실과 이질적인 공간으로 묘사되며, 따라서 다층적 양상으로 이해되고 는 한다. 서사 전개상 극적 사건이 발생하는 거실 공간은 캐릭터의 주체적 의지가 정립되는 욕망의 공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끝없이 펼쳐지는 계단 공간은 환상을 넘어서는 환상성을 구현해낸다. 헤테로토피아적 특징을 드러내는 영화 속 계단 모습은 실제 촬영장소와는 전혀 다른 공간이다. 감독의 의도가 반영된, 철저히 구성, 편집된 공간인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헤테로토피아의 개념
Ⅲ. 사진매체에서 헤테로토피아의 모순적 재현
Ⅳ. 영상매체에서 헤테로토피아의 환상적 발현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민 Kim Jee Min. 홍익대학교 박사
  • 김지희 Kim Jee Hee. 중앙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