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官人 自撰年譜의 편찬 배경과 서술 의식 - 『壺谷漫筆』과 『病後漫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ocial Background and Purpose of Scholar Officials’ Writing Autobiographic Annals – Ho-gok-man-pil(壺谷漫筆) and Byeong-hu-man-rok(病後漫錄)

관인 자찬연보의 편찬 배경과 서술 의식 - 『호곡만필』과 『병후만록』을 중심으로 -

최혜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utobiographic annals, or auto chronology, is a style of autographical writing in the form of annals where author selectively organize major events of one’s life to defend his/her honor. Most of existing autobiographic annals were written by scholar officials, especially who served high ranking positions above minister [判書]. For those high ranking official-politicians, what consists honorable behavior was political legitimacy guaranteed by their Confucian loyalty to king [忠]. By reviewing two autobiographic annals by Nam Yong-ik(南龍翼) and Choi Gyu-seo(崔奎瑞), this thesis shows how they tried to vindicate their honor by clearing charge of disloyalty [不忠]. In his annals, Nam’s main narrative focuses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mself. By emphasizing the king’s appreciation of his capability or mercy on him, Nam clearly suggests his political plight was not caused by his wrongdoings or king’s purpose. Meanwhile, Choi had to explain the dillema of his disloyalty and humility because he refused the king’s offer and left the court by his own will, and the act hadn’t been approved in King Sukjong[肅宗]’s reign but till King Yeongjo[英祖]’s. In both cases, the kings’ approval was the key element of restoring their honor. Since the purpose of the writers of self writing annlas was to clear their suspicions, they tend to show their close and often personal relationship with kings to borrow loyal authority to justify themselves in their private recordings.

한국어

자찬연보는 연보의 화법으로 본인의 삶을 기록하는 글쓰기이다. 현전하는 자찬연보는 관인, 특히 판서 이상의 고위직 관료가 작성한 것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은 자신의 명예에 많은 관심이 있었다. 고위 관료에게 명예로운 행위란 정치적 정당성, 주요하게는 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불명예스러운 상황에 처하여 자찬연보를 작성한 남용익과 최규서의 사례를 통하여 그들이 어떠한 서술 방식을 통해 본인의 불명예[不忠]를 해소하고자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남용익의 『호곡만필』에서는 서술의 초점이 임금과 자신의 직접적인 관계에 있었다. 그는 자신의 능력이나 잘못을 임금이 직접 인정하거나 용서하였다는 점을 부각함으로써 현재 그가 처한 상황은 본인의 잘못이나 임금의 의지가 아님을 명확히 하였다. 최규서의 『병후만록』은, 저자가 본인의 의지로 조정을 떠난 인물인 만큼 무엇보다 忠君과 廉義 사이의 모순을 해소해야 했다. 이는 숙종대에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영조가 그의 의지를 허락함으로써 완성되었다. 여기서 이들의 명예 회복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임금의 인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임금의 직접적인 인정이 자찬연보에 결정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까닭은 자찬연보가 대개 본인에 대한 명예로운 평가가 완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성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가능한 한 임금과 본인의 관계에 착목하여 임금의 인정을 부각하는 자찬연보의 서술 방식은, 사적인 저술을 통해 공적인 권위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목차

[ 국문초록 ]
1. 머리말
2. 자찬연보와 권위의 원천
3. 『壺谷漫筆』 : 왕의 知遇를 통한 명예 회복
4. 『病後漫錄』 : 廉義와 忠君 사이의 모순 해소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혜미 Choi, Hemi.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