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50년대 본토 일본문학에 그려진 ‘냉전기지’ 오키나와 ― 히노 아시헤이의 소설/희곡 「끊겨진 밧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presentations of Okinawa as “Cold War Base” in 1950’s Mainland Japanese Literature : With a Focus on Ashihei Hino’s Novel/Play The Torn-off Rope

김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Okinawa in Cold War Asia from the representation of Okinawa in mainland Japanese literature. To this end, the novel, The Torn-off Rope (1956) by Ashihei Hino (1907-1960) and a play published under the same title and performed in mainland Japan were analyzed. The mainland’s view about Okinawa, which turned into a “Cold War base” in the mid-1950s, was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Hino’s literally discourse that attempted to intervene in the ongoing situation in Okinawa under the U.S. military rule, and the “pacifism” espoused by anti-base discourse in mainland Japan were critically examin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ociopolitical context. The novel/play The Torn-off Rope, set in Okinawa when the “Island-wide land struggle” was triggered by the Price Report in 1956, accused America’s violence prevalent in Okinawa during the Cold War and urged solidarity between the anti-base movements in Okinawa and the mainland. However, Hino’s Okinawa discourse is a Cold War narrative that erases the traces of imperial/mainland Japan’s violence operating in Okinawa and covers up the fissure between the mainland and Okinawa by accusing the violence of the U.S., the “superior hegemon” of the Cold War regime. Okinawa as the “Cold War Base” calls for a re-examination of the memory of the Cold War for mainland Japan.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냉전 아시아 속 오키나와를 본토 일본문학의 표상을 통해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본토 일본문학에 나타난 오키나와 미군기지 표상의 원류라 할 수 있는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 1907~1960)의 소설 「끊겨진 밧줄(ちぎられた繩)」(1956) 및 동일한 타이틀로 발표되어 본토에서 상연된 희곡을 고찰한다. 1950년대 중반 냉전기지화 되어가는 오키나와를 바라보는 본토의 시선과 이에 개입하고자 한 반기지 담론이 가진 구조, 그 후경에서 작동한 정치사회적 맥락을 짚어보면서, 본토의 기지담론이 내건 ‘평화주의’의 내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1956년 프라이스 권고에 의해 촉발된 ‘섬 전체 투쟁(島ぐるみ闘争)’에 돌입하게 되는 시기의 오키나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희곡 「끊겨진 밧줄」은, 미군정 하 오키나와에서 작동한 미국의 냉전적 폭력을 고발함으로써 오키나와의 투쟁과 본토 일본의 반기지 운동 사이의 연대를 이끌어냈다. 이는 당시 오키나와에서 작동한 미국의 검열과 문화냉전의 자장을 우회하는 저항담론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히노의 오키나와 서사는, 오키나와에 가해진 제국/전후 일본의 폭력의 흔적을 소거하고 본토와 오키나와의 균열을 오로지 미국이라는 냉전체제 하의 ‘상위 헤게모니’의 폭력성 고발에 의해 봉합하고자 하는 냉전서사적 측면을 지닌다. 히노가 표방한 평화주의의 내실은 이러한 지점에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냉전구조를 떠받치면서도 이를 망각해온 일본을 향해, ‘냉전기지’ 오키나와는 냉전의 기억을 묻는다.

목차

<요지>
1. 들어가며
2. 히노 아시헤이와 오키나와 관련 작품
3. 소설 「끊겨진 밧줄」에 그려진 ‘냉전기지’ 오키나와
4. 희곡 「끊겨진 밧줄」의 본토 상연: 반기지 운동과 문화냉전의 자장
4.1. 「끊겨진 밧줄」 상연과 반기지 운동 연대
4.2. ‘냉전기지’의 표상을 둘러싼 언론검열과 문화냉전
5. 본토와 오키나와의 냉전적 봉합과 파열――공모하는 제국, 폭력의 교차지대
6. 나오며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김지영 Jiyoung Kim.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연수연구원,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