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古言梯』以降の古典仮名遣い系統の 仮名遣書における使用仮名字体について

원문정보

About the Hiragana Glyphs used in Kana Orthography Notes of Historical Kana Orthography after “Kogentei”

姜盛文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the Hiragana glyphs used in kana orthography notes of historical kana orthography, which was published after “Kogentei”. Kana orthography note is a book which suggests spelling that an author thinks is correct and tells readers how to write a particular word in kana. At that time, Hiragana had a variety of glyphs even with the same sound, and the author sometimes paid attention to the glyph. For example, Nahiko Katori, when he was writing “Kogentei”, deliberately excluded Hiragana which came from shakkun kana. According to Katori, to write something, it is correct to use kana which came from shakuon kana. According to a prior study, the tendency to avoid using Hiragana led to Norinaga Motoori. However, a survey of this paper showed that the tendency did not last after Norinaga. In fact, ‘は’, ‘へ’, ‘み’, ‘め’ were written in Hiragana. Only “Zoho Kogentei Hyochu” maintained the policy of “Kogentei”. Upon examining the material individually, it was found that “Gagen Kanazukai” and “Gagen Kanazukai Shui" used different types of Hiragana glyphs although they had the same authors. “Yamazino Tazuki” used almost one glyph per sound. It is difficult to say whether this policy was used considering the readers, because “Bunsho Kanazukai”, in which the readership overlaps, used various types of glyph.

한국어

본고는 『古言梯』 이후 출판된 고전 가나 표기법(역사적 가나 표기법) 계통의 가나 표기법서에 쓰인 히라가나의 글자체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가나 표기법서는 저자가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맞춤법을 제시한 자료로, 특정 단어를 가나로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알려주는 자료다. 당시 히라가나는 같은 소리에도 글자체가 다양하게 있었는데, 가나 표기법서는 단어를 주로 히라가나로 제시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저자가 가나의 글자체에 신경을 쓰기도 했다. 가령, 『古言梯』의 저자 카토리 나히코는 가나는 음가나(音仮名)로 쓰는 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여, 『古言梯』를 제작할 때 훈가나(訓仮名)를 자모(字母)로 하는 히라가나를 의도적으로 배제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훈가나 자모를 기피하는 경향은 적어도 모토오리 노리나가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본고에서 『古言梯』 이후 출판된 고전 가나 표기법 계통의 가나 표기법서를 조사한 결과, 그러한 경향은 노리나가 이후에는 거의 이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실상 ‘は’, ‘へ’, ‘み’, ‘め’는 훈가나를 자모로 하는 글자체를 쓰고 있었다. 유일하게 『増補古言梯標註』만 『古言梯』의 제작 방침을 고수하고 있었다. 자료별로 살펴보았을 때, 『雅言仮字格』와 『雅言仮字格拾遺』는 저자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히라가나 글자체의 종류가 달랐다. 그리고 『山路のたづき』는 한 소리당 거의 한 글자체만 사용하고 있었다. 독자층이 겹치는 『文章仮字用格』의 경우 글자체를 여러 종류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반드시 독자를 배려해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보기에 어려웠다.

목차

<요지>
1.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調査資料・調査方法
4. 仮名遣書における使用仮名字体
4.1. 訓仮名出自字体
4.2. 各資料の特徴
5. まとめ
調査資料
参考文献(Reference)

저자정보

  • 姜盛文 강성문. 高麗大学校 日語日文学科 講師、日本語史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