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mplex Disaster Management Plan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Disasters -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

원문정보

재난의 연계적 특징을 고려한 복합재난 관리 방안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Jin Young Won, Yu Rim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 disasters are emerging in different ways from traditional disaster types due to climate change, urban structural changes, and technological advances. Disaste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because of the increased connectivity between social components. In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nectivity” of disasters based on information of vulnerabilities by type of disaster established through expert survey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twork centrality, storm and flood damage, fine particulate matter etc. are significant types of disasters in terms of disaster linkages since they were highly calculated for all kinds of centrality. Infectious disease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ccidents with a high degree centrality index require systematic measures across society. Infrastructure collapse and forest fires with high closeness centrality require a prompt response since the path to other disasters is relatively short. Through commun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ll disast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in terms of the connection of disaster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ssume complex disaster situations with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한국어

지속적인 기후 및 도시구조의 변화,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최근의 재난들은 종래의 전통적 재난 유형과 다른 양상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사회 구성요소 간 연결성의 증대로 재난은 더욱 대형화․복잡 화된 특징을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난의 핵심 개념인 재난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축한 재난유형별 취약요소 정보를 기반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풍수해, 미세먼지 등은 모든 종류의 중심성이 높아 재난의 연계성 관점에 서 매우 중요한 재난유형이라 할 수 있다. 연결 중심성이 높은 감염병, 정보통신은 사회 전반적인 유기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근접 중심성이 높은 사회기반시설 붕괴, 산불의 경우 타 재난으로 연계되 는 경로가 짧아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재난의 연계성 관점 에서 전체 재난유형이 6개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재난의 연계성(복합재난)
2. 사회연결망 분석
Ⅲ. 연구 방법론
1. 연구분석의 틀
2. 연구이론
Ⅳ. 조사설계 및 데이터 구축
1. 조사지 설계
2. 조사 방법 및 결과
Ⅴ. 연구 결과
1. 중심성 분석
2. 커뮤니티 탐색
Ⅵ. 논의
Ⅶ.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in Young Won Safe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365, Jongga-ro, Jung-gu, Ulsan, Korea
  • Yu Rim Lee Safety Research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365, Jongga-ro, Jung-gu, Ulsan,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