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n Safety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Level of International Students

이재영, 공하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Korea and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level on safety aware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such as life safety awareness, fire safety awarenes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depending on the area of residence. The results to analyze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ability on safety consciousnes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expression 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fety awarenes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Comprehension abil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life safety awarenes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Korean express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ire safety awareness and had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express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safety awareness and had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safety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ile staying and living in Korea, and when teaching Korean,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on safety-related topics as well as daily Korean must be strengthened.

한국어

이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유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간에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표현과 이해능력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표현능력은 생활안전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해능력은 생활안전의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표현능력은 소방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표현능 력은 재난안전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들이 한국에 체 류하여 생활하면서 한국 생활에 맞는 안전의식을 준수하도록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어 교육 시 생활 한국어뿐만 아니라 안전과 관련된 주제로 한 한국어 이해 교육도 반드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선행연구 분석 및 연구의 목적
Ⅱ. 연구설계
2.1. 연구가설
2.2. 연구의 도구
2.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Ⅲ. 결과 및 고찰
3.1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3.2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3.3 다중회귀분석
3.4 가설검증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재영 Jai Young Lee. 정회원, 건양사이버대학교 재난안전소방학과 교수
  • 공하성 Ha-Sung Kong. 정회원,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