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의 특성 및 이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User Reactions of Videos Related to COVID-19 Vaccine

이미나, 홍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OVID-19 vaccine-related videos spread on YouTube and differences in user responses in the info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of 579 videos related to the COVID-19 vaccin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false information was written by individual channels. Institutions, organizations, media companies, and government channels reported spread of false information as well as fact-oriented reporting. The progressive channel had a high percentage of positive sentiment in favor of vaccination, and the conservative channel had a high percentage of negative emotion against vaccination. After the vaccination started, the number of videos on government channels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ideos with positive emotions increased.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video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number of likes indicated that personal expert videos and videos from progressive channels received more likes.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a plan to promote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the COVID-19 vaccine using social media.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야기한 인포데믹 상황에서 유튜브상에서 확산된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의 주요 특성과 이용자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 579개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허위정보는 모두 개인 채널이 저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및 단체, 언론사, 정부 채널에서는 사실 중심 보도와 더불어 허위정보에 대한 보도도 한 축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 성향의 채널은 백신 접종을 찬성하는 긍정적 정서의 비율이 높았고, 보수 성향의 채널은 백신 접종에 반대하는 부정적 정서 의 비율이 높았다.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에 정부 채널의 영상이 증가했고, 긍정적 정서의 영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좋아요 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의 특성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개인 전문가 영상, 진보 성향 채널의 영상이 좋아요를 더 많이 받은 것으 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정부 정책 홍보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재난위기 상황에서 소셜미디어상의 이슈 확산
2. 유튜브 영상의 특성 및 이용자 반응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분석 방법 및 분석 유목
Ⅳ. 결과
1. 연구문제 1: 코로나19 백신 관련 유튜브 영상의 저자,정보의 종류, 형식, 정치적 성향, 정서
2. 연구문제 2: 저자에 따른 정보의 종류, 영상의 형식,정치적 성향, 정서의 차이
3. 연구문제 3: 정치적 성향에 따른 정보의 종류, 영상의 형식, 정서의 차이
4. 연구문제 4: 시기 구분에 따른 영상의 저자와 형식, 정보의 종류, 정치적 성향, 정서의 차이
5. 연구문제 5: 유튜브 영상의 특성에 따른 이용자반응의 차이
Ⅴ. 논의
ⅤI.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미나 Mina Lee. 정회원,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광고홍보학 부교수
  • 홍주현 Juhyun Hong.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미디어 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