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중소규모 사업장의 개인적 특성과 근골격계증상간의 상관관계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Small Size Enterprises

김호섭, 정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surveyed 27 workplaces and 1897 worker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ease in workers was based on The Management Target or higher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The Investigation of Harmful Factors in Musculoskeletal Burdened Work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age, work load, housework burden, work experience, leisure type,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the survey, correlat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rank variables of work load, household burden, and work experienc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was confirmed by crosstabulation and chi-square analysis for other nominal variables. And in the case of other variables, there was a slight trend,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incidenc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 Symptoms increased as the age of the workers was lower, the higher the workload and housework, if they were women, if they did not engage in leisure activitie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lightly differ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s of other studies, the data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ough indicators for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bu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efore using it as quantitative indicators.

한국어

27개 사업장, 1897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를 받아 근골격계증상과 근로자 개인적 특성과 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유무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지침에 따라 관리대상자 이상을 기준으로 했으며 개인적 특성으로는 작업자의 연령, 업무부담, 가사부담, 직장경 력, 여가종류, 성별, 결혼유무로 구분하였다. 조사는 업무부담, 가사부담, 직장경력의 서열변수는 이분형 로지스틱 회 귀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그 외 명목변수는 교차분석과 카이제곱분석으로 해당 결과의 유의성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작업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업무부하와 가사부담이 높을수록, 여성일 경우, 여가활동을 가지지 않을 경우 근골격계질환 증상발현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 과 조금씩 결과가 다른 점을 미루어볼 때 본 연구의 자료를 근골격계질환 예방의 개략적인 지표로써 활용할 수는 있 지만 정량적 지표로써 활용하가 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과정
Ⅲ. 결과
1. 연령대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2. 업무부담, 가사부담 정도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3. 경력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4. 여가 종류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5. 성별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6. 결혼 유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상관관계 분석
Ⅳ. 고찰
1. 나이 분석결과 고찰
2. 가사부담 분석결과 고찰
3. 업무부담 분석결과 고찰
4. 경력 분석결과 고찰
5. 여가 분석결과 고찰
6. 성별 분석결과 고찰
7. 결혼 분석결과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호섭 Ho-Seob Kim. 정회원,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박사과정
  • 정명진 Myeong-Jin Jung. 정회원,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정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