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 성과분석 고도화 근거기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s) 융합 쟁점

원문정보

Evidence-based Practices Convergence Issues for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김영준, 권량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vergence explor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n expert meeting procedure along with a procedure for analyzing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university'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dagogy.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presenting some facts that should be based on evidence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in practices, the development and diagnostic analysis of tools for diagnosing extracurricular customized learning capabilities, data-based multidimensional analysis (IR system), continuous monitoring analysis through extracurricular certification, and analysis based on feedback tools were presented in a convergence perspective and con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guarantees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work of other universities analyzed as possible.

한국어

본 연구는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의 성과분석 고도화를 위한 근거기반 실제를 융합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교육학 분야에서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성과분석을 다룬 선행연구 를 분석하는 절차와 함께 전문가 회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덕성여자대학교에서 비교과통합관리센터 조직 신설 이후 비교과교육과정의 성과분석 고도화를 위하여 근거기반되어야 할 실제를 몇 가지로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 되었다. 그리고 그 실제로는 비교과 맞춤형 학습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진단 분석, 데이터 기반의 다차원적 분석(IR 시스템), 비교과 인증을 통한 상시 모니터링 분석, 부수적 환류도구 기반 분석이 융합적 관점과 맥락에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의 성과분석 고도화를 위한 근거기반 실제는 덕성여자대학교의 비교과교육 과정 성과평가 및 환류 시스템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담보해 주며, 타 대학의 비교과 교육 업무에 긴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비교과교육과정 성과분석 고도화근거기반 실제
1. 학습역량진단 도구 개발 및 측정 분석
2. 데이터 기반 비교과 교육 IR시스템 구축 및 활용
3. 비교과 인증 기반 상시 모니터링 분석 연구
4. 부수적 환류도구 기반 분석 연구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준 Young-Jun Kim. 정회원,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 연구원
  • 권량희 Ryang-Hee Kwon. 정회원,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