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아메스토이의 『마지막 만찬』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tragic nature in Amestoy’s The last supper

김재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asques area is well-known for its radica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separatist organization called ‘Euskadi Ta Askatasuna (ETA). Established in 1959, the purpose was to maintain Basque nation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tragic aspect of The last supper, the story of which describes the reunion between a father who is a conservative writer and his son who is a ETA member. The play is written by Ignacio Amestoy (1947-), a famous playwright from Bilbao. Amestoy also protested the military dictatorship while working as a journalist right after studying journalism in the University. Later, he expressed his passion toward the play during ‘la Transició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death of General Franco in 1975 to the democratic transfer of power to a democratic government in 1982. For this reason, he is often called the writer of ‘82 Generation’ or ‘the Generation of the Transition.’ Against this historical backdrop, his plays narrate the agony and faith of Basque intellectuals who willingly endured the oppression of the dictatorship, waiting to bring it down. By introducing Amestoy’s works, this paper aims to extend the range of the research on Spanish plays amongst Korean academia, which mainly focus on García Lorca or Buero Vallejo during the 20th century.

한국어

스페인 북부의 바스크 지방은 구겐하임 미술관과 성공적인 도시재생 사례를 이룩한 빌바 오가 있는 곳이며 급진적인 지역 분리주의 운동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는 바스크 민족주의를 지 키려는 목적으로 1959년에 만들어졌다가 2018년에 해체된 무장단체 ‘에따(ETA)’ 때문이다. 본 논 문에서는 에따의 조직원으로 활동하는 아들과 보수적인 작가 아버지 사이의 재회를 다루는 『마지 막 만찬』(2010)을 소개하고 작품에 나타난 비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희곡은 빌바오 출 신인 이그나시오 아메스토이(Ignacio Amestoy, 1947-)의 작품으로 작가는 대학에서 저널리즘을 공부하고 기자로 활동하면서 독재 정권에 저항했다. 또한, 1975년 프랑코의 사망 이후 1982년 민 주주의 정부가 들어서기까지의 기간인 ‘민주주의로의 이행기(la Transición)’에는 연극에 대한 그 의 열정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런 이유로 그를 ‘82세대’ 또는 ‘이행기 세대’의 극작 가라고 부른다. 그의 작품 세계에는 독재에 맞서며 바스크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노력했던 지식인 의 고뇌와 신념이 묻어있다. 이러한 그의 작품을 소개하고 연구하는 것은 그동안 한국에서 20세 기 스페인 연극을 가르시아 로르카와 부에로 바예호 중심으로 진행했던 흐름에서 벗어나 새로운 극작가와 작품 세계를 소개하며 연구의 범위를 다양하게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극작가 아메스토이
III. 『마지막 만찬』에 나타난 비극성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선 Jae-Se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