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ypes of Geometry Question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eatures of the types of geometry questions in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The researchers select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grades 1-6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nd Go-Math K-5 developed under the CCSSM in the U.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by the analysis framework.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study was modifie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several prior studies based on Blosser (1973)'s classification criteria. We set the types of questions as regenerative, suggestive, categorical, applicable, comprehensive, predictive, judgmental, diffuse thought, evaluation though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had a high proportion of those that guided students to the direc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presented concrete manipulation activities related to conceptual learning. The U.S. Go-Math textbooks had a high proportion of expressions that repeatedly presented various problem situations and experiences for students to apply concepts. In addition, both Korean and U.S. textbooks had more closed doors to induce cognitive and memory and convergent thinking than open thinking, but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had more open questions to deal with divergent and evaluative thinking than American textbooks. As a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judgemental questions in geometry i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and to follow-up research on other area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 발문을 분석하 여 제시한 발문 유형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1~6학년 수학교과서와 미국 CCSSM에 의해 개발된 Go-Math K~5학년 수학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도형 영역의 발문들을 분석틀에 의해 분류하여 발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 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틀은 Blosser(1973)의 사고 유형에 의한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여러 선행 연구들의 분석틀을 참고하여 수정하였다. 발문의 유형은 재생 적 발문, 제안적 발문, 분류적 발문, 적용적 발문, 종합적 발문, 예상적 발문, 판단 적 발문, 확산적 사고 발문, 평가적 사고 발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수 학교과서 발문은 학생들에게 학습 활동의 방향을 안내하고 개념 학습과 관련된 구 체적 조작 활동을 제시하는 발문의 비중이 높았다. 미국 Go-Math 교과서는 학생들 이 개념을 적용할 다양한 문제 상황이나 경험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발문의 비중 이 높았다. 또한 한국과 미국교과서 모두 주로 인지·기억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이끌어 내기 위한 폐쇄적 발문이 개방적 발문보다 더 많았지만, 한국 수학교과서는 미국 수학교과서에 비해 확산적 사고와 평가적 사고를 다루는 발문이 더 많이 제 시하고 있었다. 제언으로, 한국 수학교과서 도형 영역에서 판단적 발문의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으며, 다른 영역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발문의 정의
2. 발문의 분류 체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과 범위
2.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한국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에 나타난 발문 유형의
2. 미국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에 나타난 발문 유형의 특징
3. 한국과 미국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에 나타난 발문 유형의 차이점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