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을 그리는 과제 수행에서 보여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공간 추론 양상

원문정보

Spatial Reasoning Pattern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Performing the Task to Draw the Shapes of Building Block Structures

김해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present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shapes seen from the top, front, and side of building block structures, let them draw, after inferring the process of the drawing, the shapes on the plane, and analyzed their spatial reasoning patter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18 of the 50 participants performed well with accurate inferences and exact shape drawing, while 20 of them were poor at inferring how to draw the shapes and showed less than average ability in their drawing. Second, there were more pre-service teachers(28 out of 50) who had wrong perspectives than those(22 out of 50) with the correct perspectives in the perception of the number of observation directions needed to draw the shapes stacked with building blocks. Third, among the spatial reasoning activities by De Moor(1990),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show high utilization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patial visualization methods, systematic approach, local deductive reasoning, and decomposition and synthesis in order. Consequent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trengthen spatial reasoning ability in our educ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ou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eed to be educated to draw the shapes of different building block structures on the plane themselv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의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을 제시하여, 쌓기나 무로 쌓은 모양을 그리는 방법을 추론한 후,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을 평면에 그려 내는 과제를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투입하여 그들의 공간 추론 양상을 연구하였으 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0명의 초등 예비교사들 중에서 쌓기나무로 쌓 은 모양을 그리는 방법을 정확하게 추론하고, 추론한 쌓은 모양을 평면에 모두 그 려낸 예비교사는 18명으로 매우 적었으며, 20명의 초등 예비교사들은 쌓기나무로 쌓는 방법을 추론하는 능력과 쌓은 모양을 그리는 능력이 보통 이하로 분석되어 이들의 문제해결 능력은 높지 않았다. 둘째,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을 그릴 때 필요 한 관찰 방향의 개수에 대한 인식에서도 잘못된 관점을 가진 초등 예비교사들은 28명으로 옳은 관점을 가진 22명의 초등 예비교사보다 더 많았다. 셋째, 과제 수행 중 초등 예비교사들이 사용한 De Moor(1990)의 공간 추론 활동들 중에서 시각화 방법의 개발 및 적용하기, 체계적 접근하기, 국소 연역적 추론, 분해와 종합하기 순 으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에서 공간 추론 교육 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을 평면 에 직접 그려내는 교육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간 감각의 의미와 하위요소
2. 쌓기나무 단원과 관련된 공간 추론
3. 공간 추론 능력에 대한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문항 설계
3. 자료 분석 관점 및 방법
Ⅳ. 연구의 실제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내용 및 과제의 해결 방법
2.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해규 Kim, Hae Gyu. 제주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