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alling, to identify mediation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mediation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177 samples, first, calling was found to give positive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calling was found to give positive effect to job satisfaction. Third, trust was found to make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rust was found to make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study verified mediation effect of trust in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proved the importance of trust as a mediation factor. Also, the result indicated that,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service organization members, calling and internal ego should be pulled out, potential capability and passion should be perceived through work, the desire to achieve the goals and values of organizations should be pulled out.
한국어
본 연구는 소명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직무만족과의 관계, 소명의식과 조직 몰입,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표본 177부를 분석결 과, 첫째, 소명의식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명의식은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는 소명의식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넷째, 신뢰는 소명의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소명의식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있어 신뢰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며, 매개변수로써 신뢰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소명의식의 내적자아를 이끌어 내어 잠재된 능력과 열정을 인식하고 업무를 통해 능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조직목표와 가치를 실현하는 욕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고찰 및 가설설정
1. 소명의식
2. 소명의식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3. 소명의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4. 신뢰의 매개효과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 조사방법 및 표본특성
Ⅳ. 실증분석
1. 확인적 요인분석
2.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