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어 3인칭 대명사에 대한 교육적 제언

원문정보

Educational Suggestions for Chinese Third Person Pronouns

김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ought a method to solve errors related to “Ta” by analyzing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Chinese third person pronoun “Ta”. First of all, errors related to “Ta”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an error that arises from not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Korean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a”, and the second is an error in operating “Ta” properly as a corresponding word in discourse. These two errors are not separate and share their roots. Typologically, Chinese belongs to the third person language in the system of personal pronouns. On the other hand, Korean belongs to the second person language, and in this respect, the personal pronoun system of the two language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irst of all, because Korean is a second-person language, there is no dedicated third-person pronoun. In fact, the components used as third-person pronouns in Korean are mostly derived from referential pronouns. For this reason, the first third-person pronoun that comes to mind in Korean, “he,” is not used very often, such as being actually used only in written language, and most of the third-person pronouns actually used are integrated referential types. On the other hand, in Korean, the object of respect is referred to as a noun due to the politeness strategy of phrasing, or the corresponding word is omitted because of the frequent omission. Due to such a complex system, the Chinese third-person pronoun “Ta” and the Korean third-person pronoun form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rather than a parallel [Ta-he] relationship. However, Korean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such asymmetrical relationships, so they remain in a one-dimensional expression such as [Ta-he] in speaking Chinese. As a result, Korean expressions such as “that person” cannot easily correspond to Chinese “Ta”, or they interfere with the rules of Korean discourse, creating a correspondence that is not suitable for Chinese discourse. These problems do not stem from a misunderstanding of syntactic rules, but rather from a failure to understand the cognitive system of the target language. As such, problems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yntactic and cognitive units require long-term instructional planning.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by intervening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Chinese third-person pronouns from the introductory stage of encountering “Ta” for the first time. In translating Chinese into Korean as the most realistic teaching method currently available, I would like to suggest a method of actively exposing Korean third-person pronouns and correspondence methods commonly used in Korean discourse - nouns and omissions.

한국어

본고는 중국어 3인칭 대명사 “他”에 대한 한국 학습자의 인식개선을 통해 이와 관련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유형학적으로 볼 때 중국어는 3인칭 언어에 귀속된다. 반면에 한국어는 2인칭 언어에 귀속되는 것으로, 이 점에서 두 언어의 인칭 대명사 체계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2인칭 언어라는 속성으로 인해 한국어에는 전용 3인칭 대명사가 존재하지 않으며, 3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는 성분은 대체로 지시대명사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이다. 이로 인해 “그, 그녀”는 사용빈도가 높지 않고,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3인칭 대명사는 대부분 “지시사 통합형”이다. 한편, 한국어는 화용상의 공손 전략에 의해 존대의 대상을 대명사가 아닌 명사로 조응하거나, 주어 생략이 잦은 담화적 특징으로 인해 선행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복잡한 체계로 인해 중국어 3인칭 대명사 “他”와 한국어 3인칭 대명사는 비대칭적 관계를 이룬다. 그러나 한국 학습자는 두 언어의 비대칭 관계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他-그]와 같은 단순 대응 위주의 중국어 구사에 머무르고 있다. 한편, 이로 인해 발생되는 오류는 통사 규칙에 대한 오해가 아닌, 이를 넘어서는 대상 언어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지 못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처럼 통사부와 인지부의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장기적인 교수 계획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고는 “他”를 처음 접하는 입문단계에서부터 중국어 3인칭 대명사와 관련된 인지적 요소를 개입시켜 교수해야함을 주장한다. 본고는 현재 가장 현실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중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가장 한국어적인 3인칭 대명사의 사용 및 한국어 담화에서 상용되는 조응방식-명사 및 생략-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한중 3인칭 대명사 특징 분석
Ⅲ. 3인칭 대명사 사용 실태 분석 및 교수 방안 검토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희 Kim Hyeonhee. 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