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中・日 고전문학 속의 女性과 바다

원문정보

Woman and Sea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한・중・일 고전문학 속의 여성과 바다

이경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ncient Korea, China, and Japan, where feudal patriarchy was the foundation of society, the sea was so much the sphere of men that it was considered an area forbidden for women. Nevertheless, some women in classical literature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attempted to face the sea for various reasons. Thus, the sea came to these women as various images that could not otherwise be defined as one. For them, the sea, which they faced after being expelled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was a place of separation, death, and disconnec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ea was also a new chapter full of new opportunities and enjoyable challenges for women who took the initiative in breaking down the limitations and taboos of society. At sea, after overcoming hardships, those adventurous women experienced happy endings in their lives, and they even achieved miraculous reincarnation and salvation. From their birth, women in Ancient Korea, China, and Japan were strictly regulated and characterized under the patriarchal framework through notions of filial daughter (Hyo-nyeo), obedient and virtuous wife (Yeol-bu), and a good wife and wise mother (Hyun mo yang cheo). Eventually, despite these obstacles, for those women, the sea was not only a dynamic area with new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but also the setting for the literature about their lives. In essence, the sea was where women in ancient societies could recover the colors they lost in their lives only painted in black and white.

한국어

봉건적 가부장제가 사회의 근간이었던 고대 한중일 삼국에서 바다는 ‘금녀(禁女)의 공간’이라고 불릴 정도로 남성의 영역이었다. 그러나 한중일 고전문학 작품 속의 일부여성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바다와 맞닥뜨리게 되었다. 그리하여 바다에 도달한 여성들에게 그곳은 어느 하나로 규정 될 수 없는 다양한 이미지로 펼쳐졌다. 가부장사회로부터 추방되어 마주한 바다는 이별과 죽음이라는 단절의 공간이기도 하였지만. 한편 당시 사회의 현실적 제약과 금기를 허물고 주도적으로 바다로 나아갔던 여성들에게는 새로운 만남과 도전의 기회가 주어졌고, 때로는 고난을 극복하여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재생과 구제의 기적까지도 이루어 내기도 하였다. 이 땅에 태어난 순간부터 ‘효녀’, ‘열부’, ‘현모양처’라는 가부장체제의 규획된 틀 속에서 소리 없이 흑백의 삶을 살았던 고대 한중일 여성들에게 바다는 역동적이며 출렁이는 물소리와 함께 총천연색으로 펼쳐진 문학의 공간이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단절로서의 바다
Ⅲ. 연결로서의 바다
Ⅳ.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미 Lee, Kyung Mi. 동서대 중국어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