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트-코로나 시대, 사회적 삼재팔난의 시기 불교의 역할 찾기 : 공공불교를 제안하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orean Buddhism Role in the Post Corona Era : proposing the Public Buddhism

이명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Buddhism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OVID-19 and examines what kind of effort is required to be faithful the original purpose as the Religion. To this end, Luhmann's system theory was reviewed and the society after Corona 19 was predicted. Looking at the society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social meaning of disasters has become stronger and more common. Although the society is divided into functional systems, society is not so di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Pratitya-Samutpada(緣起論). Therefore, social problems should be recognized as Buddhist problems. In order to realize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it is necessary to Performance of Buddhist system toward other social systems. The Buddhism for Performance of Buddhist system is the Public Buddhism, that is, 'Buddhism that interacts with various areas of society and coexists, cooperates, and solidifies with various groups/forces/individuals in the process'. The Public Buddhism emphasizes the Public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the theory of Pratitya-Samutpada. The Public Buddhism should play the roles as the Reflection System,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Public Good,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To this end, it pays attention to the social agenda and provides an interpretation from the Buddhist perspective.

한국어

이 논문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보여진 불교의 역할을 점검하고, 종교로서의 본래 목적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를 루만의 체계이론 관점에서 검토하였고, 코로나19 이후의 사회를 전망하였다. 코로나19 이전/이후를 살펴보면, 재난의 사회적 의미는 더욱 강화되었고 일상화되었다. 사회는 기능체계들로 분화되어 있어도 상호작용하며 연결되어 있다. 이는 연기론에 입각한 사회 해석과 일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의 관점에서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함께, 연기적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불교 문제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이슈화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한 전망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상에서의 고통/어려움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교의 역할이 검토되어야 한다. 불교의 존재 이유를 확인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회체계에 대한 불교적 실행이 필요하다. 불교적 실행을 위한 불교는 공공불교, 즉 ‘전체사회의 여러 영역과 상호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집단/세력/개체들과 공존하고 협력하고 연대하는 불교’이다. 공공불교는 붓다가 발견한 연기론에 기초하여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공공불교는 성찰체계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공공선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고, 공적 담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또한 이를 위해 사회적 의제에 관심을 가지고 불교 관점의 해석을 제공한다. 나아가 공공불교의 관점에서 개인의 신행활동과 선수행을 점검하고 재구성하는 노력도 요청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면서
Ⅱ. 이론적 논의
1. 기능적으로 분화된 현대사회에서 종교
2. 현대사회에서 종교의 개입
Ⅲ.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의 불교
1. 코로나19 재난에서의 불교 대응 현황
2. 코로나19 재난에서의 불교 대응이 지닌 함의
Ⅳ.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 전망, 사회적 삼재팔난의 시기
1. 사회적 삼재팔난의 의미
2. 사회적 삼재 : 기후위기ㆍ핵에너지ㆍ감염병
3. 사회적 팔난 : 불평등ㆍ혐오ㆍ단절
Ⅴ. 사회적 삼재팔난의 시기, 공공불교의 필요성
1. 공공불교의 개념
2. 한국불교의 코드 수정 : ‘동체대비/독존(獨存)’으로
3. 공공불교의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호 Lee, Myoung-Ho. 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