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계제한 시 국내 항만의 출항통제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essel Traffic Control of Korean Port in Restricted Visibility

온성욱, 권유민, 최정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increase, speed-up and enlargement of ships for calling ships in ports,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has became more congested, and the risk of maritime accidents increased in restrictive ports. Accordingly, when visibility is restricted, the ship is under control to prevent marine accidents. The departure control under the domestic visibility restriction is 500m, but the regulations are not clear and applied to same standar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hips Although it would be safest to control for departure under the same visibility conditions regardless of ship type and siz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pose the criteria for restricted visib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ssel,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was calculated a thorough review the reach according to the maneuverability of each size and the luminous distance of the navigation light installed on the ships. As a result, in the 500m visibility situation, the distance at which the masthead lightcan be observed by a officer was 1,019m. At this time,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reach from the moment when the target ship’s masthead lights are identified in the encounter head-on situation, up to 223m in length of ships have a minimum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of 47.6m, even if they encounter other ships. On the other hand, for ships longer than 255m in length, it was not possible to obtain a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reach distance due to the hard-over turning avoidance control under the condition of 500m visibility. However, under the condition of 1,000m visibility, which is higher than the current visibility limit of 500m, the luminous range of the light is increased to 1,574m. Therefore, ships with a length of 255m to 340m or less had a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of 318m to 460m when encountering each oth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this study suggested that ships with a length of 255m or longer should apply a strengthened standard of the visibility limit than the current 500m of visibility limit. It was also suggested that ships with a length of 223m or less will be able to reconsider their navigational permits when various safety conditions at the port are met under the 500m visibility limit. It is imply that it wa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visibility limit control standard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hip, as the collision avoidance distance between ships based on the reach distance for each ship and the distance to visually identify the masthead light of the other ships in the restricted visibility. Since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visibility of masthead light and the size of ships calling at target ports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uture, such as the variability of ship maneuverability by the types of the ships and the change in the reach dista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cargo is loaded.

한국어

항만 내 기항 선박의 증가와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제한적인 항만 내의 해상교 통은 더욱 혼잡해지고, 해상사고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해상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자 일정한 시계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선박의 출항을 통제하고 있다. 국내 시계제한에 따른 출항통제는 500m이나 이에 대한 규정은 명확하지 않으며 선박의 크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선종 및 크기와 관계없이 동 일한 시계 조건에서 출항 통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크기에 따른 시계제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크기별 조종성능에 따른 Reach와 선박 에 설치된 항해등의 광학적 광달거리를 검토하여 충돌회피 여유거리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시계 500m 상황에서 전부 마스트등을 목측으로 식별할 수 있는 거리는 1,019m로 분석이 되었다. 이 때 각 크기별 대상선박이 타선과 마주치는 상태로 조우 상황에서 타선 등화를 식별한 순간으로부터 Reach에 따른 충돌회피 거리는 길이 223m까지의 모든 선박은 타선을 조우하더라도 충돌회피 여유거리가 최소 47.6m의 여유거리를 두고 통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길이 255m 이상의 선박의 경 우 시계 500m 조건에서 전타 회피 조종으로 인한 Reach 거리에 따른 충돌 회피 여 유거리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현재의 시계제한 기준인 500m 보 다 상향된 1,000m 시계 조건에서는 등화의 광학적 광달거리가 1,574m로 증가되므로 길이 255m~340m 이하 범위의 선박은 최소 318m부터 최대 460m의 충돌 회피 여유거리가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충돌 회피 여유거리에 대한 산출 결과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조종성능에 따라 길이 255m 이상의 선박은 현 행의 500m 시계제한 통제기준보다 강화된 시계제한 기준을 적용하여야 하고 길이 223m 미만의 선박은 500m 시계제한 상황에서 항만의 여러 안전 여건이 확보될 때 운항 허가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라 제시하였다. 이는 제한된 시계 내에서 상대선의 전부 마스트등을 육안으로 초인하는 거리 및 선박별 Reach 거리를 기준으로 산출된 자선 및 타선 간의 충돌회피 여유거리가 선 박 크기별로 각기 다르므로 선박 길이에 따라 시계제한 통제기준을 달리 적용할 필 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단, 마스트등의 광달거리 및 연구범위 내 부두를 기항하는 선박의 크기를 분석 기 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향후 선종에 따른 조종성능 변수 및 화물 적재여부에 따른 Reach의 거리 변화 등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국 문 초 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해상교통특성분석
Ⅳ. 연구해역의 출항선박 현황 조사
Ⅴ. 크기별 대상선박의 충돌여유거리 산정 및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온성욱 Ohn, Sung-Wook.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권유민 Kwon, Yu-Min.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교수
  • 최정연 Choi, Jun-Gyeon. 네브라스카주립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