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팔로워십을 통한 조직공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Employee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rough Followership

최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modern studies of human resource competencies support balanced consideration of both leadership and followership in organizational research, interest and research for followership continue to be sluggish compared to leadership. This imbalance between leadership and followership can undermine organizational operations by causing inefficiencies in organizations' response to recent rapid and unpredictable environmental changes. This imbalance can also impose serious burden to leadership in selecting and leveraging key information among the explosively growing information based on recent advanced IT technologies. Meanwhile, the proportion of so-called MZ generation members in the organization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y have a variety of values about life and work compared to older members. In addition to objective indicators of success such as salary and promotion, they tend to consider subjective aspects of their career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ir careers and work-life balance. In other words, the proportion of members who valu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success as much as or more than the success of objective indicators and vertical hierarchies is expanding. Therefore, this study takes balanced consideration of authentic leadership and followership as leading factors in the dimension of competencies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members' perception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sidering the typical workflow in the organization, the mediation model has been established that includes indirect path in which followership mediates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n more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each direct and indirect path of the mediation model. For organizational justic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on each of the sub-dimensions -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 taking into account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dimensions. The research model validated in this study is shown below.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s in the mediation model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Subsequently,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each of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of the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rough followership is significant in all three sub-dimensions. Specifically,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mediated by followership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when organizational justice is in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direct path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not significant at all three sub-dimensions.

한국어

인적 자원의 역량에 대한 현대적 관점의 연구들이 리더십과 팔로워십에 대한 균형적 고려를 지지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팔로워십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리더십 대비 부진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조직의 대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에 대한 효과적 취사선택 등에 있어서 비효율을 초래함으로써 조직 운영을 저해할 수 있다. 한편, 일과 삶에 대해 다양한 가치관을 지닌 MZ세대 구성원들의 조직 내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은 연봉, 승진과 같은 성공의 객관적인 지표 외에 경력에 대한 만족감, 일과 삶의 균형과 같은 주관적 측면에 대한 고려 경향이 강하다. 즉, 이들은 가시성이 높은 성공의 지표 못지않게 혹은 그 이상으 로 주관적, 심리적 측면의 성공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역량 차원의 선행 요인으로서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과 구성원의 팔로워십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의 구축에 있어서 조직 내의 전형적인 업무의 흐름을 고려하여 진정 성 리더십이 팔로워십을 매개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를 포함하는 매개모형을 수립하였 다. 이 때 조직공정성의 세 가지 하위 차원 변수들을 조절변수로 고려함으로써 보다 심도있는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매개모형의 직접 경로와 간접 경로의 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는 간접경로에 대해서만 유의했으며, 세 가지 하위 차원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진정성 리더십이 팔로워십을 매개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공정성이 높은 수준일 때 더욱 강화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수립
2.1 진정성 리더십
2.2 진정성 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
2.3 팔로워십: 진정성 리더십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을 매개
2.4 조직공정성: 진정성 리더십 영향의 조절효과, 팔로워십을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3.2 측정 도구
Ⅳ. 연구 결과
4.1 기술 통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4.2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Ⅴ. 논의
5.1 연구의 의의 및 이론적 시사점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준원 Choi, Joonwon.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