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hanges in sedimentary structure and elemental composition in the Nakdong Estuary, Korea

원문정보

낙동강 하구역 퇴적구조 및 원소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Yunji Kim, Jeongwon Kang, Seonyoung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understan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Scirpus planiculmis habitat (Myeongji and Eulsuk tidal flats) in the Nakdong Estuary,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parameters (sorting, skewness, and kurtosis) of grain size data and the major (Al, Fe, Mn, Mg, Ca, Na, K, Ti, and P), minor (Li, Sc, V, Cr, Co, Ni, Cu, Zn, Sr, Zr, Cs, Pb, Th, and U), and rare earth elements (REEs) in sediment cores. For Myeongji, the sediment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cores was poorly sorted, more finely skewed, and more leptokurtic due to construction of the West gate. By contrast, the Eulsuk cores all differed due to the contrasting floodgate operation patterns of the West and East gates. The linear discriminate function (LDF) results corresponded to the statistical parameters for grain size. At the Eulsuk tidal flat (sites ES05 and ES11), elemental distributions were representative of Al-, Fe- and Ca-associated profiles, in which the elements are largely controlled by the accumulation of their host minerals (such as Na- and K-aluminosilicate and ferromagnesium silicate) and heavy detrital minerals at the sites. Detrital minerals including the aluminosilicates are major factors in the elemental compositions at ES05, diluting the REE contents. However, clay minerals and Fe-oxyhydroxides, as well as REE-enriched heavy minerals, appeared to be controlling factors of the elemental composition at ES11. Therefore, the mineral fractionation process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elemental composition during sedimentation, which reflects the depositional condition of riverine–saline water mixing at both sites.

한국어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식생지역의 수리역학적 퇴적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명지와 을숙도 조간대에서 6개의 퇴적물 코어 를 채취하여 퇴적물 입도와 원소분석 (주원소, 미량원소, 희토류 원소)을 수행하였다. 명지 조간대의 퇴적환경은 낙동강 하 구둑 좌측 수문의 영향 때문에 퇴적물 상부 (~ 15 cm)에서 분급도가 불량하고 왜도 및 첨도는 양의 값을 보였다. 반면에 을숙도 조간대는 주 수문뿐만 아니라 좌측 수문의 방류 영향으로 정점 별로 서로 다른 퇴적상을 보였다. 퇴적환경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급도, 왜도 및 첨도 등을 이용하여 Linear Discriminate Function (LDF)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퇴적물 상부에서 주로 에너지가 강한 퇴적환경이 나타났다. 을숙도 조간대의 ES05 (식생지역)와 ES11 (비 식생지역) 정점 의 원소분포는 크게 Al, Fe 및 Ca 주요원소들의 분포와 관련하는 광물구성의 영향을 받는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Aluminosilicate)를 포함하는 쇄설성 광물들은 퇴적물의 희토류 함량을 희석시키며, 특히 ES05 정점 퇴적물의 원소조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에 ES11 정점의 원소조성은 점토광물과 철수산화물, 그리고 희토류 함량이 높은 중광물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섬매자기 조간대 퇴적물의 원소조성은 광물 분별 과정의 영향을 받으 며, 이는 담수-해수 혼합 지역의 퇴적환경을 반영한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2.1 Study area
2.2 Sampling
2.3 Grain size analysis
2.4 Element contents
3. Results and discussion
3.1 Hydrological effects on grain size distribution
3.2. Elemental distributions in sediment cores(Eulsuk tidal flat)
3.3. Factors controlling the elemental distribution in sediments (Eulsuk tidal flat)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Yunji Kim 김윤지.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Jeongwon Kang 강정원.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Seonyoung Park 박선영.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