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원문정보

Trend in Paternal Childcare Tim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from 2004 to 2019

이정은, 서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role in the care of young childre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for the balance of childcare responsibilitie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in paternal childcare in Korea over the last 15 years. Childcare is divided into primary and developmental care and fathersʼs Childcare time and participation rates are inverstigated for dual- and single-income households. Data are collected from the four waves of the five-yearly Statistics of Korea Life Time Surveys between 2004(t1) and 2019(t4) including the workday time diaries of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n1=2,264, n2=1,242, n3=959, n4=952). Three major results are identified. First, paternal childcare time and participation rates have increased with dual-income fathers spending 24 more minutes a day with their young child(ren) in 2019 than in 2004, which is nearly double. Second, in the analysis of fathersʼ childcare time use and participation rates comparing primary and developmental care, primary care is found to have increased more than developmental care, especially among dual income fathers: this further exhibits a reversed relation between primary and developmental care over time. Third, the determinants of paternal childcare time are fathersʼ age, market labor time, commuting tim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education. In particular, market labor time was significant in all four waves, whi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s only significant for single-income fathers. Based on these results, a specific agenda is provided for family-friendly policies to improve the balance of childcare rol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especially encouraging increased(significant and sufficient) participation of fathers in primary care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맞벌이와 외벌이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의 변화를 파악하고 아버지의 자녀돌봄 활동의 특성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돌봄의 하위활동영역을 각각 필수돌봄, 발달돌봄, 기타돌봄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 사자료 중 2004, 2009, 2014, 2019년의 4개 연도 15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평일(근무일)의 아버지 자녀돌봄시간과 참여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미취학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특히, 맞벌이 아버지는 2004년과 비교하여 2019년에 자녀돌봄시간이 24분 증가하여 15년 동안 2배 가량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돌봄유형을 분석한 결과, 2004년에는 생존과 직결되지 않고 간헐적 참여가 가능한 발달돌봄 참여율이 자녀의 생존과 건강유지를 위한 필수돌봄에 참여율보다 적었으나, 2019년에는 외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과 발달돌봄 참여율이 유사하였고, 맞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 참여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아버지의 연령, 교육수준, 성평등의식, 시장노동시간, 출퇴근시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시장노동시간은 모든 조사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성평등의식은 외벌이 아버지 집단에서 최근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맞벌이 아버지와 외벌이 아버지 모두 자녀돌봄시간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돌봄뿐 아니라 필수돌봄에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부모의 공동양육 책임이 실현되는 방향으로의 긍정적 변화를 시사한 다. 또한, 이는 지난 15년간의 아버지 자녀돌봄 행태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가족친화 정책의 구체적 과제를 제안하고 지역사회 등에서 아버지 대상 자녀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정은 Lee, Jung-eun.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강사
  • 서지원 Seo, Jiwon. 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