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ssesses the consequences of voluntary self-disclosure in social media settings functioning as a consumer’s personality trait by navigating user-generated content (UGC) perception – drawn from source credibility and attractiveness – and UGC behavior – drawn from consumer online brand-related activities (COBR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self-disclosure favorably impacts perceived UGC trustworthiness and familiarity, and how this in turn influences subsequen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sing 301 valid respon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s employed.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self-disclosure not only generate trust and familiarity toward UGC but also actively engage in UGC behavior. Perceived UGC trustworthiness and familiarity, in turn, result in positive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Coincident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re consumers create, consume, or contribute to UGC, the more they purchase the products and/or brands displayed in UGC.
한국어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 성향으로써 자발적인 자기노출(self-disclosure)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자기노출이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인식과 UGC 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노출 성향이 UGC 신뢰성과 친숙도(UGC 인식)에 영향을 미치 고 결과적으로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301 명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노출 성 향이 높은 사람은 UGC 신뢰도와 친숙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UGC 신뢰도와 친숙도는 UGC를 통해 소개된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도 향상시켰다. 또 UGC 신뢰도와 친숙도는 UGC 행동을 매개하여 구매의도에 긍 정적 영향을 주었다. 즉, UGC의 신뢰도와 친숙도가 높으며 UGC 행동을 활발하게 하는 사람은 UGC에 등 장하는 브랜드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UGC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본문에 제안되어 있다.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1) User-Generated Content
2) Self-Disclosure
3) UGC Perception
4) UGC Behavior: Creating, Consuming, and Contributing to UGC
5) Brand Attitude
6) Purchase Intention
3. Methodology
4. Results
5. Conclusions and Discussion
참고문헌
요약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함께 이용한 논문
- 사용자 제작 콘텐츠 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Z세대 대상으로
- 숏폼 동영상 플랫폼 IT 어포던스와 숏폼 동영상의 특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틱톡 플랫폼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형 기부 메시지의 설득 효과 : 수혜자의 명명(命名)과 화자 의 시점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가격할인율과 희소성 메시지에 따른 광고 메시지 효과 연구 :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 및 상황적 관여도를 중심으로
- 온라인 포털의 신문광고에 대한 인식 은 광고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설득지식 모델과 인게이지먼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