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재일 디아스포라의 예술세계

곽인식의 깨진 유리는 다시 원상태로 복구되었는가? - 1960년대 유리 작품의 배후에 있는 의미에 대하여 -

원문정보

Fixing Broken Glass: Searching for the Meanings behind Quac Insik's Artworks Produced in the 1960s

박순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amine glass works produced by Quac Insik, a Korean-born artist who lived and worked in Japan, in relation to his social involvement during the 1960s. When precedent researchers deal with Quac, they often tended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that Lee Ufan's works which contain some of the similar constituent features of Quac's works,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Lee's glass could not have been realized without the influence he had from Quac. However, on the contrary to such prevalent assertion, my thesis argued that Quac's art has been subjected to arranging styles in a chronological order, positing his glass works solely as pioneering pieces of Mono-ha from an art historical perspective. In this regard, my thesis tried to avoid the disposition of sweeping generalization vis-à-vis the art of Quac, discussing what sort of situation he was faced with through the context of the time ― not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present. What came into light through such investigation was the fact that despite he advocated artistic avant-garde, he was powerless in a continual struggle between political ideals namely communism and capitalism, having no choice but to reflect the present state of himself by breaking sheets of glass. Even though Quac did not want to reveal his past involvement with the reunification movement for the Korean Peninsula to the public due to the anti-communist National Security Law; to put his social awareness he once had in brackets could conceal the genuine motivation behind the glass works, leaving a mere impression that he was only an innovative and experimental artist. Thus, although many researchers urged that Quac deserves reevaluation for his artistic achievement, this thesis rather pointed out that his importance lies in the hitherto neglected social movement he campaigned to bring peace to the peninsula, which most of them were reluctant to explore further. Whether Quac can be described as an artist who lived through the turbulent period of Cold War in a broader sense is dependent on those who will eager to conduct researches on postwar Japanese and Korean art history.

한국어

본 논문은 일본 미술계에서 활동한 곽인식의 1960년대 유리 작품을 사회 운동적 측면에 입각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곽인식이라는 한 예술가의 작품세계를 논할 때, 한일의 논자들은 그의 깨진 유리 작품이 훗날 이와 유사한 작품을 발표하게 되는 이우환에 끼친 영향에 대해 주로 논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필자는 기존의 논의가 모든 예술작품을 양식사적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시도 속에서 곽인식의 작품이 지닌 의미를 일반화시켰다고 파악하고, 후대의 관점이 아닌 당시 그가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었는지 논증하고자 했다. 이러한 조사 과정을 통해 새롭게 드러난 사실은 곽인식이 표면적으로는 예술에서의 전위를 주창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좌우 이념의 대립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었던 그 자신의 모습이 깨진 유리에 투영되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곽인식 스스로가 의식적으로 자신의 과거 행적, 즉 한때 총련계 작가들과 함께 통일 운동을 펼쳤었다는 사실을 드러내 보이지 않았다는 점은 부인하기 힘들다. 그러나 곽인식이 어느 특정한 시점에 가지고 있었던 사회의식을 괄호에 넣고 그의 유리 작품을 바라보게 되면 그러한 작품을 산출시킨 동인은 은폐되고, 그저 실험정신으로 충만했던 예술가상(像)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논자들이 곽인식의 중요성은 재검증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하면서 막상 간과해 온 이러한 그의 사회 운동적 측면이야말로 그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던 곽인식 예술의 사각지대였다는 점을 필자는 제시하고자 한 것이었다. 곽인식을 더욱 넓은 견지에서 냉전 아래 온갖 풍파를 겪은 예술가로 볼 있을 것인지 그 해석의 가능성을 찾는 일은 앞으로 한일의 전후 미술사를 연구하게 될 이들의 몫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곽인식 예술의 세 가지 맥락
3. 전후 일본미술의 1960년과 곽인식의 실천
4. 통일: 깨진 유리가 이야기하고자 한 말
5. 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순홍 Park Soonhong. 도쿄예술대학 미술연구과 박시후기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