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각가 김종영의 自畵像 연구 - 醜形象에 담긴 審美意識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culptor Kim Chong-Yung’s Self-portrait

조각가 김종영의 자화상 연구 - 추형상에 담긴 심미의식을 중심으로 -

김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painter's self-portrait has been discussed by a number of researchers, but rarely details the sculptor's self-portrait or drawing. In this article, I examines the self-portrait of Kim Chong-young (1915-1982), a pioneer i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bstract sculptures in Korean sculptur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aesthetics. Most of the self-portraits drawn by Kim Chong-young reveal a sense of self-consciousness that is close to the level of a blow by formal destruction that deviate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ly mentioned self-portrait.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the abstract on the screen is completely out of the standard of beauty seen in the theory of shape. This aspect has no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he chose to ‘voluntarily be alone’ in which he retired and stepped away from the world. In this paper, Kim Chong-young's reasons for ‘alone’ were reflected in the creation of the work, leading to a unique artistic spirit, and considered the aesthetic meaning of ‘doc(獨) artistic spirit’ and abstract images through the aesthetic view of the veteran. Kim Chong-young's artistic spirit, which stems from his emptiness from the inside through the heart and the left, usually transcends and denies the view of recognizing objects. Although the form revealed outwardly is ugly, the artist's artistic reasons for trying to sublimate the ugly figure into a higher level of aesthetic awareness can be seen.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Kim Chong-young's self-portrait and self-awar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beauty that looks at the boundaries of true beauty through ‘Chu(醜)’ rather than ‘beauty’ that is understood from the common sense line. Kim Chong-young's self-portrait is not an idealized self-image or symbolic expression as a ritual, but rather a process that extends from the art reason to the artist's body diagram. His self-portraits and numerous drawings need to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sculpture creation rather than discussed in separate art categories. The interpretation of Kim Chong-young's work through ‘Shimchu(審醜)’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his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work theory, including his abstract sculpture, while expanding the horizon of artist research in connection with Eastern art theory.

한국어

그동안 화가의 자화상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어 왔지만 조각가의 자 화상이나 드로잉을 자세히 다룬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본 논문은 한국 조각사에서 추 상조각의 도입과 전개에 있어서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우성 김종영(又誠金鍾瑛, 1915~1982)의 자화상을 동양미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김종영이 그린 대부분의 자화상은 통상적으로 언급되는 자화상의 특징에서 벗어난 형식적인 파격이 일격(逸格) 의 경지에 가까운 자의식을 드러낸다. 특히 화면의 추형상(醜形象)은 형신론(形神論) 에서 보는 일반적인 아름다움의 기준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 징은 그가 은둔하면서 스스로 세상과 거리를 두고 물러난, ‘자발적인 홀로됨[獨]’을 선 택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김종영의 이 같은 ‘독(獨)’에 대한 사유 가 작품 창작에 투영되면서 독특한 예술정신에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獨의 예술정신’과 ‘추형상’이 지닌 미학적 의미를 노장의 심미관을 통해 고찰하였다. 심재(心 齋)와 좌망(坐忘) 그리고 내부로부터 허정(虛靜)함에서 비롯된 김종영의 예술정신은 통상적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관점을 초월하고 부정한다. 이를 통해 외적으로 드러난 형태는 추하지만 그 추악한 형상을 좀 더 높은 차원의 심미의식으로 승화시켜 창작에 임하고자 한 작가의 예술 사유를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상식선에서 이해되는 아름다 움의 의미보다 추(醜)를 통해 진정한 미의 경계를 바라보는 심추(審醜) 미의식의 관점 에서 김종영의 자화상과 자각상을 분석하였다. 김종영의 자화상은 어떤 이상화된 자아상(自我像)이나 의식으로써의 상징적 표 현이라기보다는 ‘獨’의 예술 사유로부터 발현된 작가의 체도(體道)에 이르는 과정이라 는 차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작가의 자화상과 드로잉은 각각의 예술범주 에서 다루기보다는 조각작품 창작의 연장 선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심추’를 통 한 김종영 작품에 대한 해석은 그의 추상조각을 비롯하여 작품론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동양 예술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김종영 작품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獨’의 예술 사유와 자화상
1. 誠意의 실천으로써 자화상
2. 자발적인 ‘홀로됨[獨]’을 선택함
Ⅲ. 醜形象을 통해 본 審美意識
1. 자화상 : 형식 파격에 담긴 逸格美
2. 자각상 : 審醜에 담긴 추상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진 Kim, Sue Ji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