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정희 서화 미학에 대한 동기창의 영향 - 이서입화(以書入畵)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alligraphy and Painting Aesthetic of Tung Ch’i-Ch’ang that Influenced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 Focused on Calligraphic Techniques into Painting -

서희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Tung Ch’i-Ch’ang that influenced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who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t find the period of influence exactly due to the lack of remaining data, but we could confirm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Tung Ch’i-Ch’ang.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of Kim Jeong-hee presented scent of characters and sprit of books as a condition of Literati Calligraphic Painters and the claims of homology of book and painting that Kim Jeong-hee painted with brush stroke support the acceptance of Literarti painting art theory. Kim Jeong-hee tried to secure identity of orthodox Confucianism literati officials based on artheory of Tung Ch’i-Ch’ang. Although artheory of Kim Jeong-hee had less creativity compared to the one of Tung Ch’i-Ch’ang, Kim Jeong-hee actively accepted the orthodox painting style that emulated Tung Ch’i-Ch’ang, great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Kim Jeong-hee emphasized to strictly follow dao, a study which wasn't emphasized by Tung Ch’i-Ch’ang. Difference between calligraphy and painting theory Kim Jeong-hee and Tung Ch’i-Ch’ang is that Kim Jeong-hee put artistic creative action on the same line with the Gewuzhizhi study of Confucianism. The reputation of Tung Ch’i-Ch’ang which began to be known in Jeseon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Wu school painting style since the 17th century has been settled as representative literati calligraphy styl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man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ere passed down compared to the previous era along with calligraphy works that were influenced by Wu school or Tung Ch’i-Ch’a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influence of Tung Ch’i-Ch’ang went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as works that clearly showed that they used painting style of Tung Ch’i-Ch’ang as it is or they were Bangjak of it were appeared a lot. So, the calligraphy style of Tung Ch’i-Ch’ang was spread regardless of the classes. In this background, the influence of Kim Jeong-hee was great. He adopted Qing Dynasty civilization and strengthened the basics of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that fit to the circumstances of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of systematizing it. Its origin are still being passed down to this day. In addition, an art theory of Kim Jeong-hee demanded high-degree of spirit of beauty in both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claimed a scent of characters and spirit of books, pursuing unique 'grotesque'. Many painters who transcended the differences in social orders from high class literary men to middle class participated in the high-degree of the spirit of beauty and unique literati painting style. In this sense, his status in Joseon calligraphy history was very high. An art theory which pursued unique characteristics along with his pursuit for high-degree of the spirit of beauty is evaluated to block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painting in certain aspect, but we found that this opened up a new creative world rather than blocking it.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 말기 화단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김정희의 서화 미학에 끼친 동기창의 서화 사상의 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다. 남아 있는 자료의 부족 으로 정확히 영향력을 파악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김정희의 서화론은 동기창의 서화 론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김정희의 서화론이 문인 서화가 의 조건으로 문자향과 서권기를 제시한 점 그리고 서예의 필법으로 그림을 그린다는 서화 동필론을 주장한 점은 동기창의 문인화론을 수용했음을 보여준다. 김정희는 동기 창의 화론에 기반해 정통 유가 사대부 예술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비록 김정 희의 화론이 동기창의 서화론에 비해 창신의 측면은 위축되었지만, 김정희는 동기창을 위시하는 정통파 화풍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조선 후기 회화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김정희는 동기창이 강조하지 않았던 학문과 같이 도를 엄격하게 준수 할 것을 강조했다. 김정희 서화론과 동기창의 서화론의 차이점은 김정희는 예술 창작행위 를 유가[聖門]의 격물치지 학문과 같은 선상에 놓았다는 것이다. 17세기부터 오파 화 풍의 수용과 함께 조선에 알려지기 시작한 동기창의 명성은 18세기에는 오파 혹은 동 기창의 영향을 받은 서화작품과 함께 이전 시대에 비해 다량의 서화 필적이 전래되며 조선 후기 대표적인 문인 서풍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동기창의 화론이 그 대로 화제로 이용되거나 혹은 방작임을 분명히 밝힌 작품들이 대거 등장해 동기창의 영향력이 저변화 되었으며, 계층을 불문하고 동기창의 서풍은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 경에는 김정희의 영향력이 컸다. 그는 청 문물을 수용해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동기창 의 서화론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변용한 남종문인화의 기초를 닦았으며, 그 연원은 오 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또한, 김정희의 예술론은 회화와 서예에서 모두 고도의 정신 미를 요구하며 문자향과 서권기를 주장하며 개성적인 ‘괴’를 추구했다. 그가 주장한 고 도의 정신미와 개성적인 문인화풍은 상류층 문인뿐 아니라 중인층에 이르기까지 신분 질서의 차이를 뛰어넘어 많은 화가가 동참했다. 이런 점에서 조선 서화사에서 그가 차 지하는 위상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고도의 정신미의 추구와 함께 그 속에 독 특한 개성을 추구하는 예술론은 한편으로는 전통 회화의 발전을 차단한 것이라고 평가 되기도 하지만, 이것은 차단이 아닌 새로운 독창적 세계가 열리도록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19세기 조선에 나타난 동기창의 서화론
1. 동기창 서화풍(書畫風)의 확산
2. 회화에 관한 인식변화
Ⅲ. 김정희 서화 사상에 대한 동기창의 영향
1. 문자향(文字香)과 서권기(書卷氣)의 강조
2. 괴(怪)의 미학
Ⅳ.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희연 Sur, Heui Yeon. 안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