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야외지질답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search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Geological Fieldwork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Last 21 Years(2000-2020)

정동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vious research on geological fieldwork from 2000 to 2020, examine the tasks that have been focused on, and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geological fieldwork research. The data was conducted for the thesis searched on ScienceON and RISS in relation to geological fieldwork and journal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nd the study title was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analysis, the data that had been pre-processed was visualized as a network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frequency and centrality were analyzed. The centrality analysis was based on degree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and all analyzes were performed by dividing the entire study period into four periods: 2000-2005, 2006-2010, 2011-2015, and 2016-2020. As a result, research on geological fieldwork focused more on the development of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in particular, jeju island was actively discussed as a learning site. Also, the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and among them,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 frequency and centrali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geological fieldwork were discussed, either in connection with programs such as STEAM, free-semester program, or indirect geological fieldwork methods such as web, flash panorama, and 3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looking back on the research on geological fieldwork that has been done so far.

한국어

본 연구는 야외지질답사에 관하여 2000년부터 2020 년까지 선행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가 중점을 둔 과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야외지질답사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 는 목적을 지닌다. 자료 수집은 야외지질답사와 관련 하여 ScienceON과 RISS에서 검색되는 학위논문, KCI 등재 학술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제목에 대하여 언어 네트워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전처리를 마친 자료를 언어 네트워크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나타내어 시각화하고 빈도수와 중심성 분 석을 실시하였다. 중심성 분석은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전체 연구 기간과 2000년-20005년, 2006년-2010년, 2011년-2015 년, 2016년-2020년으로 4개의 기간을 나누어 이루어졌 다. 그 결과, 야외지질답사에 관한 연구는 야외지질학 습장 개발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특히 제주도 가 학습장으로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교 사 보다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 중 고등학생이 높은 빈도와 중심성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도 야외지질답사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와 융 합인재교육, 자유학기제 등과 같은 프로그램과 연계하 거나 웹, 플래시 파노라마, 3D와 같이 간접적인 지질 답사 방안도 논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는 그 동안 이루어진 야외지질답사에 관한 연구를 되 돌아봄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시사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선정
2. 자료 처리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 현황
2. 전체 기간 네트워크 분석
3. 연구 기간별 네트워크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정보

  • 정동권 Dong-Gwon Jeong. 전북대학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